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분
할당
배당
분배
배급
빈도
d라이브러리
"
분포
"(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분포
하는데 해당 영역에서 오로라가 발생했다. 이는 극지역에 주로 열린 자기력선이
분포
하는 지구와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지구는 열린 자기력선 때문에 극지방이 아닌 지구자기위도 70° 내외의 고위도 지역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물리학연구소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아래 식처럼 우리가 현실에서 관측한 데이터와 직접 설정한 사전
분포
에 따라 구한 사후
분포
의 값이 우리가 찾으려는 값입니다. 이때 분모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가질 확률의 합을 계산하기가 어려워 이를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3단계 | 최적화하기 수학에서 최적화한다는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광범위하게 나타난다.바초 키로의 후기 구석기 사람들은 동서 유라시아인 계통의 지리적
분포
가 현재와는 사뭇 달랐고, 구석기 인류 집단들에서조차 장기간에 걸친 이주가 활발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더 좁은 의미의 ‘우리’, 이를테면 현대 한국인의 유전적 기원에 대한 연구 역시 이와 다르지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그런 후 개미굴과 먹이 사이에 장애물을 두고 개미의 경로를 기록한 뒤, 각 경로의
분포
와 밀집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볼록렌즈 모양의 장애물이 있을 때 개미는 속도가 느려지는 벨크로를 덜 지나가기 위해 벨크로가 얇은 가장자리 지역으로 많이 이동했고, 오목렌즈 모양의 장애물이 주어진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연구사는 “명태의 경우 서식지의 남방 한계선이 한반도에 걸쳐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분포
위치에 따라 어획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며 “남획 등 다양한 요인이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이 최근 한반도 해역에서 발견되는 사례 역시 ... ...
[과학동화] 동화 나라 인기템 ‘무지갯빛 유리구두’ 신데렐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어떤 파장을 흡수하고 방출하느냐에 따라 유리의 색이 결정됩니다. 유전체층 속 공간의
분포
를 바꾸면 무늬를 새기고 유리 양면의 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야누스 유리의 원리인 ‘광학 야누스 효과’는 용어가 처음 생겨난 지 5년도 안 된 ‘신상’입니다. 연구팀은 현재 광학 야누스 효과를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개미들의 이동 경로와 렌즈 모양 장애물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최지범 연구원을 만나봤어! 최 연구원은 어떻게 우리의 행동을 설명하는 수학적인 원리를 밝힌 걸까? _ INTERVIEW Q 이번 연구는 어떻게 하게 됐나요?함께 연구했던 박사님이 마침 개미 전문가라 평소에도 개미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연구사는 “명태의 경우 서식지의 남방 한계선이 한반도에 걸쳐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분포
위치에 따라 어획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며 “남획 등 다양한 요인이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이 최근 한반도 해역에서 발견되는 사례 역시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존경하는 과학자이기도 하죠. 저는 천문학과 물리학을 좋아하고 수학 분야에서는 소수의
분포
에 관심이 많습니다. Q 어떻게 폴리매스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수학동아에서 폴리매스 소개를 보고 작년부터 활동했습니다. 사실 수학이나 과학에 관심 있는 친구들을 학교에서는 찾기 어려운데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특징을 갖죠. 이 함수에 앞서 구한 가중치 함수 H(x)=wx+b를 합성하면 함숫값 y의
분포
가 0부터 1 사이의 연속한 S자형 곡선 모양의 그래프가 나옵니다. AI는 합성함수의 계산 결과를 토대로 y의 값이 클수록 에프매스가 행사에 갈 확률이 크고, 작을수록 행사에 갈 확률이 작다고 예측합니다. 처음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