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그 핵심 아이디어를 기술한 방정식인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에도 π가 들어가는 걸 보고 ‘세상은 수학으로 이뤄져 있다’라는 사실을 강하게 깨달았습니다. 지금도 이 생각에 변함이 없어서 이를 널리 알리는 것이 인생의 목표래요. 인터뷰 동안 사쿠라이 작가는 기자에게 한국의 수학 문화에 관해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모이고 있다. 금 대표는 “실제로 쓰리빌리언에서 진단한 희귀 유전질환의 60%가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돌연변이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새롭게 발견된 희귀 유전질환 돌연변이는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클린바(ClinVar)’ 라이브러리에 쌓여 전 세계의 생명공학 기업과 병원에 공유된다.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성덕’이죠.광자 에너지로 우주를 항해하는 ‘솔라 세일’ 빛을 흡수하고, 빛을 보고, 빛을 물체화시키는 세 가지 능력의 공통점은 바로 빛, 광자를 이용한다는 점입니다.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인 이중성을 갖습니다. 영화에서 댄버스의 빛을 흡수하는 능력은 빛의 입자성에 기반한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순천 왕운중 1) 독자는 “세계 최강의 4페타와트 레이저를 만들어내는 시설을 눈앞에서 보고 설명을 들으며 질문도 할 수 있어 즐거웠다”면서 “이런 시설은 늘 미국에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제가 사는 순천에서 가까운 곳에 세계 최강의 레이저가 있다니 뿌듯한 마음이 들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동토의 땅에 거대한 고속도로가 지평선 끝까지 일직선으로 쭉 뻗어있었다. 앞만 보고 미친듯이 질주하는 여러 대의 차량 중에 현재 122등인 차가 있었다. 흰색 바탕에 검은색 동그라미를 찍은 달마시안 무늬의 포르쉐 911 터보였다. 그 바로 옆에 눈먼 짐승 2호가 스폰(Spawn플레이어가 게임 내 월드에 ... ...
- 개운하게 목욕하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페트병이 1년에 얼마나 많이 버려지는지 아니? 환경단체인 ‘그린피스’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생수 페트병은 109개나 돼. 대한민국의 인구수는 2023년 기준 5155만 명이니,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생수병이 버려지는지 곱셈을 이용해 구해보자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진미 2020년경 본격적으로 버섯을 탐사하러 다니기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토록 보고 싶었던 노란망태말뚝버섯을 볼 수 있었어요. 그곳은 경상북도 봉화군의 활엽수림이었는데, 가까이 가 보니 노란망태말뚝버섯들이 군락을 이루며 펼쳐져 있었습니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모습에 넋을 잃은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2010년대 초부터 ‘파워 플레이 체스(Power Play Chess)’라는 체스 전문 유튜브 채널을 즐겨보고 있어요. 체스를 두진 못하지만요. Q. 어렸을 적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지다가 결국 물리학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20대 초반에 역사와 언어학은 제 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물리학과 수학에 더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매몰되면 안 된다”며, “실패는 지나간 일로 떠나보내고, 새로운 걸 다시 시도해보고 도전하면 된다”고 조언했어요. 현재 1991년 제조된 중형차 프린스를 개조해서 유라시아를 횡단하는 계획을 짜고 있답니다. 암 극복하고, 암 연구로 박사 논문 작성 2018년 여름 암 전이 연구로 박사과정을 밟던 ... ...
-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관을 방문했을 때 여러 개의 동전을 던져 π의 근삿값을 구하는 실험기를 보고 이번 수업을 기획했어요. 이 체험에 대해 배 교사는 “단순한 활동이지만 직접 통계 수치를 만들고 계산하며 확률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그럼 본격적으로 막대를 던지러 가볼까요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