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니
스완
백로
해오라기
d라이브러리
"
백조
"(으)로 총 2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이태형씨의 '손쉽게 관측하는 여름밤 별자리'. 우리에게 익숙한 직녀 견우별과
백조
자리의 데네브가 이루는 여름철 삼각형을 중심으로 여름밤의 별들을 손쉽게 관측하는 방법 등이 소개됐다.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견우별이 위치한 독수리자리의 겨드랑이 에타별에는 우리나라 천문학박사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들로 이루어진 이중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NGC7000밤하늘에서 절대등급으로 기장 밝은
백조
자리의 꼬리별인 데네브의 바로 옆에 위치하는 산광성운으로 북아메리카성운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20분×100분이나 되는 너무나도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장파장의 빛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여름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거문고자리의 직녀성과 독수리 자리의 견우성, 그리고
백조
자리의 꼬리별 데네브를 중심으로 화려한 은하수가 펼쳐져서 빛나며 우리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이 달에는 아마추어들이 별을 보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상과 투명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백조
자리 근처에는 강력한 블랙홀이 도사리고 있다는 여러가지 증거가 최근에 보고됐다.한편 초신성 폭발은 그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데 밑거름이 된다. 초신성은 폭발하면서 무거운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서쪽하늘로 기울기 시작한다. 밤이 깊어가면서 동쪽하늘을 목동 헤르쿨레스 거문고
백조
자리 순으로 양보하며 사라져 가는 것이다. 이때 남쪽하늘에서는 화려한 성운 성단의 보고인 전갈자리와 궁수자리가 봄에 허전했던 공간을 차지하며 아마추어들의 시선을 기다리고 있다.6월4일 개기월식이달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변광성인데 이것의 밝기가 이번달에 극대가 되므로, 사진을 찍어서 옛날에 찍어놓은
백조
자리 사진과 비교해보면 별의 크기가 커졌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유성우달이 없는 22일 밤 펼쳐질 거문고 자리의 유성우는 기원전 687년에 중국인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 유명한 혜성 대처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블랙홀 등의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특히 현재까지 관측된 X선원 중 Cyg X-1(
백조
자리에서 첫번째로 발견됨) LMC X3(대마젤란 은하에서 세번째로 발견됨) A0620-00(Ariel 위성으로 관측됨) 등은 거의 확실한 블랙홀의 후보로 알려지고 있다.X선망원경으로 관측된 결과는 전파망원경과 마찬가지로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알 수 있다.2백억년과 1
백조
년 사이의 비율은 1만분의 1정도다. 그러므로 은하들이 1
백조
년이 아닌 2백억년 내에 탄생할 수 있다는 주장은, 마치 "정상적으로 10개월이 걸리는 아기의 탄생을 30분만에 해결할 수 있다는 억지"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아직도 만족할만 한 해가 없는 이 난제는, 흔히 우주의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등성 엡실론(ε)별로 인해 매우 관심이 가지는 별자리. 이 별은 고래자리의 타우(τ)별이나
백조
자리의 61번 별과 함께 생명체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가진 곳이다. 이 별은 지구와 같은 행성을 가지는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별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아직 특별한 징조는 없지만 생명체가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알려졌는데 이는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백조
자리 X-1을 검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쌍성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X선원 중에는 동반성의 질량이 9M⊙인 것도 관측되어 검은 구멍의 존재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지게 되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