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위"(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난 1월 말, 동굴 조사를 마치고 돌아오다 강원도 태백시 황지천의 ‘구문소’라는 곳에 들렀어요. 이곳에 펼쳐진 석회암 지대는 지난 30년 동안 매년 대학생 제자들과 함께 현장 조사를 하던 장소이기도 합니다. 구문소의 석회암이 특이한 이유는, 첩첩산중인 이곳에 얕고 따뜻한 바다에 살던 ...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오늘날 우리가 바라보는 바다는 정약전의 바다와는 다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자산어보 편찬 200주년을 기념해 2012년 여름과 가을, 그리고 2013년 겨울과 봄 전남 신안 흑산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하는 해양생물을 분석한 책 ‘21세기 자산어보’를 2014년 발간했다. 연구에 참여한 ‘21세기 정약전’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데이터 레이블링, 소위 데이터 눈알 붙이기 아르바이트에 손을 댄 계기는 당연히 돈이었다. 중소기업에서 일하면서 월세를 내고 생활비를 내면 가계부 앱은 ‘조금 더 저축하세요!’ 라는 조언을 내뱉었다. 하지만 말이 쉽나. 줄줄이 떠오르는 투자 상품이며 주식 추천 종목을 보면서 나는 고개를 ...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해저지형을 조사할 때에는 흔히 탄성파를 이용한다. 에어건 등 음원 장치로 바다 밑에 인공 음파를 발사해 파동이 전파되는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음파가 물속을 이동하다가 지면을 만나면 반사되며 일부 파동의 에너지가 바뀌는데, 이를 통해 해양지각의 두께뿐만 아니라 암석의 종류까지 알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주부동산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따뜻한 봄이 찾아오면서 본격적으로 이사철이 시작됐죠. 그런데 요즘 제대로 된 행성 고르기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까딱 잘못 고르면 너무 춥거나 물도 제대로 안 나오기 십상이거든요. 그래서 주로 우리은하 지역의 매물을 담당하는 저, 이행성 공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안녕하세요. 어수동 탐험 기자 정만아입니다. 7일 동안 무인도에서 재밌는 시간을 보냈는데요, 이런 체험을 준비하는 진짜 탐험가의 생생한 무인도 살아남기 이야기가 궁금해 탐험가를 만나러 왔습니다. 무인도섬테마연구소의 윤승철 소장입니다. [어수동] 무인도 탐험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셨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행히 아직 희망이 있대. 과학자, 개인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협력하기 시작했거든! 여섯 번째 대멸종, 힘을 모아 막아보자! 급진적인 과학으로 지구를 되돌리자!지난해 2월 미국의 비영리 연구단체 ‘북극 얼음 프로젝트’는 유리 가루를 북극의 해빙 위에 뿌리면 태양 광선을 반사해 해빙이 녹는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살고 싶은 외계행성 조건을 정했다면 다음 순서는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외계행성을 찾아서 내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겁니다. 지구에서 최소 몇 광년은 떨어져 있을텐데 가능한 일이냐고요? 걱정 마세요. 저희 부동산은 지구의 수많은 천문학자와 협력하고 우주관측위성 및 망원경을 활용해 행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시베리안 허스키 하얀 눈 위에서 썰매를 끌고 힘차게 달리는 개를 떠올려 보세요. 가장 먼저 ‘시베리안 허스키’가 생각나진 않았나요? 시베리아에서 썰매를 끌기위해 개량된 시베리안 허스키는 몸무게가 20~25kg이고, 몸 높이가 50~60cm인 중형견이에요. 시베리아에 사는 부족들을 도와 양식을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19년 9월 20일, 노르웨이 북부 도시 트롬쇠(Tromsø)의 항구 부두에서는 밴드의 연주가 흐르는 가운데 사람들이 초밥을 먹고 작별 인사를 나누는 등 시끌벅적한 시간이 이어졌다. 반면 부두에 정박한 쇄빙선 폴라스턴호에는 이전에 경험해본 적 없는 분위기가 감돌았다. 60여 명의 과학자와 40여 명의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