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시간이 걸렸다. 2차원 문제는 1940년대 헝가리 수학자 라슬로 페예시 토트가, 3차원 문제는 미국 수학자 토마스 헤일스가 1998년에 해결했다. 2015년까지 4차원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없었다. 우크라이나-스위스 수학자 마리나 비아조프스카가 8차원에서는 ‘E8 격자’로 불리는 특수한 격자 ...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칠면조 구이를 할 때 무게당 30분을 곱한 시간 동안 조리하라고 말한다. 독일계 미국 물리학자 피에프 파노프스키는 이런 조리법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칠면조를 오븐에서 조리할 때는 열이 고기의 표면에 닿기 때문에 그 표면적이 중요하다. 만약 무게에 따라 표면적이 일정하게 ... ...
- 어떤 모양도 단번에 나눈다!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후고 슈타인하우스가 처음으로 제안했고, 1942년 영국 수학자 아서 해롤드 스톤과 미국 수학자 존 튜키가 n차원에서 증명했다. 3차원의 경우 물체 3개를 한 번에 자르는 거라 빵 2장과 햄 1장이 들어가는 햄 샌드위치에 비유해 문제를 설명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유클리드 공간 고대 그리스 수학자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굽는 네덜란드의 포퍼처스는 종횡 비율이 약 3이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미국식 팬케이크는 종횡 비율이 3보다 크고 300보다 작았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두께가 달라 정확한 숫자로 나타내기 어려웠다. 베이커 비율이 약 100인 걸쭉한 반죽을 구웠더니, 단단한 반죽 속에 갇혀 있던 수분이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화폐 가치가 적정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빅맥 1개가 미국에서 3달러이고 일본에서 300엔이라 할 때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라 환율은 1달러당 100엔이 된다. 물론 이 환율이 실제 환율과 똑같지는 않다. 하지만 그 나라의 물가 수준을 판단하고 환율이 적정한지 살펴보는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어요. 인공지능(AI) 기술을 앞세워 말이죠. AI로 1분 만에 10일 예보 완성! 2023년 11월, 미국 알파벳의 인공지능(AI) 개발 기업 딥마인드가 슈퍼컴퓨터 없이도 1분 만에 10일 치의 날씨를 예측하는 AI 그래프캐스트를 선보였습니다. 그래프캐스트는 유럽중기기상예보센터(ECMWF)의 39년 치(1979~2017) 기상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뻗어있을 정도로 거대한 구조다. 이 LLVPs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2023년 11월 1일, 첸 위안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LLVPs가 원시 지구에 충돌한 행성 ‘테이아’의 잔해일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589-1 테이아는 ... ...
- [가상인터뷰] 계절별미 ‘흰개미’ 즐기는 침팬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모르죠. 그저 재밌어서 하는건지, 맛있어서 하는건지요. 그런데 최근에 세스 필립스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팀이 우리가 왜 낚시를 하는지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건기와 우기가 명확한 탄자니아의 이사 계곡에서 우리를 연구했어요. 연도별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13개의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때문입니다. doi: 10.3390/insects14020133 조수지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연구원은 2023년 11월 미국곤충학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물질, 이미다크로프리드와 페닐피라졸계의 피프로닐을 함께 활용한 살충제가 빈대 방제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피프로닐은 가바(GABA) 수용체에 작용해 흥분된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1991년 이후,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취소되거나 예산 삭감을 당합니다. 유명한 예가 미국 텍사스주 사막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초전도 초충돌기(SSC嘄uperconducting Super Collider)’입니다. SSC는 둘레만 약 87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가속기가 될 계획이었습니다. 물리학의 표준모형이 품고 있는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