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형"(으)로 총 1,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데이터가 보여주는 식량 위기의 이유과학동아 l2022년 05호
- 활용하는 통계 모형을 비롯해 관측자료와 식물의 생리학적 요소를 결합하는 생물리 모형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이유 전쟁 데이터는 전쟁도 식량위기를 일으키는 요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지난 3월 14일 기준 우크라이나 일대의 NDVI는 대부분 작황에 부정적인 수치를 보였다. 2년 ... ...
- [2022 필즈상 예측] 필즈상 수상으로 2인자에서 1인자 될까? 기호 7번. 바르가브 바트수학동아 l2022년 05호
- 강의를 하고 있는 바트 교수예요. 2016년 바트 교수는 숄체 교수가 2011년 도입한 기하학 모형인 ‘퍼펙토이드 공간’을 추상 대수학의 한 분야인 ‘가환 대수학’ 문제를 명확히 해결하는 데 이용해 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는데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주로 정수론 문제를 푸는 데 쓰일 ... ...
- [매스미디어] 닥터 스트레인지 : 대혼돈의 멀티버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기본 입자’ 17개와 이들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표준 모형’이 존재해요. 기본 입자들은 입자마다 고유의 ‘결합 상수’들이 정해져 있는데, 이 상수가 어떻게 정해졌는지는 아무도 몰라요. 여기서 결합 상수는 물리적 상호 작용의 세기를 나타내는 수예요. 일부 ... ...
- [가상 인터뷰] 초파리로 생체 시계 비밀을 푼다고?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슬레이브 뉴런이 만드는 PER 단백질의 농도가 달라지는 양상을 약 1,000개의 변수로 이뤄진 모형을 만들어 계산한 다음, 생체 시계의 작동 원리를 예측했어요. 그리고 저를 이용한 실험으로 그 원리가 맞는지 검증했죠. 수학으로 생물학을 연구하다니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비등방성이 생겨나고 전파된 과정 등 우주의 진화를 기술하는 이론을 우주론의 표준모형(ΛCDM·람다 차가운 암흑물질 모형)이라고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물을 종합해 계산하면 우주의 질량-에너지 분포에서 27%는 암흑물질이, 68%는 암흑 에너지가 차지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가 알고 ... ...
- [특집] 콘텐츠 인기 순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만드는 다양한 요인들을 독립변수 xi로 나타낸 신경망 함수 y = b0 + b1x1 + b2 x2 + bnxn으로 AI 모형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한편 일각에서는 수학으로 흥행을 예측하는 시도에 우려를 표해요. 기존 데이터만 활용하면 미래의 문화적 환경이나 관객 취향 변화 등은 고려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또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질량의 극히 일부분만 차지해 암흑물질이라고 하기엔 양이 부족했다. 그러던 중, 표준모형에 없는 제4의 중성미자가 존재한다는 예측이 나왔다. 중성미자는 전자에서 뮤온, 뮤온에서 타우, 타우에서 전자로 서로 바뀌는 성질이 있다. 이 현상을 ‘진동 변환’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세 종류의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끈 게 아니라면요.” 대학원생의 소행(?)이 아닐 경우, 잃어버린 에너지 사건이 표준모형을 기준으로 계산한 예측보다 더 자주 일어났는지를 비교한다. 잃어버린 에너지 사건을 통해 중성미자가 생성될 확률은 이미 정확히 예측돼 있다. 따라서 잃어버린 에너지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빈도가 예측된 ... ...
- 과학│오렌지 향에는 오렌지가 없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향이 다양한 식재료에 대한 기억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렇게 뇌에 축적된 음식의 모형과 패턴을 통해 감각한 대상에 대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런 경험이 축적되면 판단 모델은 보다 정교해지고 좀 더 다양한 식재료의 맛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필진소개최낙언. 서울대와 ... ...
- [가상 인터뷰] 도마뱀의 비늘에 숨겨진 수학적 비밀은?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이징 모형의 사각 격자를 제 피부 비늘 모양인 육각형 격자로 바꿔서 새로운 수학 모형을 만들고 색깔 변화를 설명했어요. 비늘은 주변 비늘이 많이 띠고 있는 색과 반대의 색을 보이는 경향이 강했고, 녹색보다 검은색이 될 확률이 높았어요. 이번 연구를 통해 도마뱀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의 무늬가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