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운하게 목욕하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명
이 1년 동안 사용하는 생수 페트병은 109개나 돼. 대한민국의 인구수는 2023년 기준 5155만
명
이니,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생수병이 버려지는지 곱셈을 이용해 구해보자 ... ...
등하굣길을 지켜줘! 스쿨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곳이에요. 어린이가 많이 다니는 초등학교와 유치원뿐만 아니라 특수학교와 정원 100
명
이상의 어린이집, 수강생 100
명
이상의 학원에서 300~500m 정도 떨어진 거리를 모두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했지요.●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자동차는 시속 30km 이하로 이동해야 해요. 이는 1초에 8m보다 짧은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늘 활발하던 섭섭박사님. 오늘은 웬일인지 창밖을 바라보며 사색에 잠겨 계셨어요. “달에게 소원을 빌면 안 되는 이유가 뭔지 알아? 달은 매일 변하기 때문이야. ... 자세히 파악한 다음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 아르테미스 3호를 발사해 우주비행사 4
명
을 달에 보낼 예정입니다 ... ...
무작위하지 않다는 증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참가자들은 모두 뒷면보다 앞면이 더 자주 나오도록 하는 데 성공했으며, 참가자 중 1
명
은 무려 68% 확률로 앞면이 나타나게 할 수 있었다. 두 연구 결과 모두 동전을 던질 때 초기 조건만 알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로, 동전 던지기가 무작위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있는 ‘스마트 변기’를 개발한 공로로 박승민 싱가포르 난양공대 화학, 화학공학 및 생
명
공학부 교수가 2023년 이그노벨상 공중보건상을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유머과학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가 1991년 제정한 이그노벨상은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 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특성이죠. 실제 중국은 2016년 양자 통신위성 ‘묵자호’를 발사해 양자의 얽힘을 증
명
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방법은 이렇습니다. 지상에서 약 500km 상공에 있는 묵자호에 얽힘 상태에 있는 양자 한 쌍(A, B)을 둡니다. 그리고 이 중 한 개의 양자(B)를 지상으로 내려보냅니다. 그 다음 지상에 ... ...
어린이가 만든다! 스쿨존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진행하고 함께 지도를 만들어 봤습니다. 팝콘플래닛 홈페이지를 통해 초등학생 52
명
이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었어요. “대부분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뛰다가 발생” TV와 유튜브 등에서 블랙박스 영상을 보며 교통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한문철 변호사에게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질문을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위튼 교수의 바쁜 내한 일정 가운데 1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이휘소상 수상을 축하드려요. ...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질량이 없는 빛의 휘어짐이나 시공간의 곡률을 설
명
할 수 있다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문제를 하룻밤 만에 해결했어요. 5차 이상의 고차 방정식에는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
명
한 것이지요. 그 과정에서 대칭에 관해 연구하는 군론의 토대가 만들어집니다. 탄탄대로를 걸었을 것 같은 성공한 사람도 알고 보면 실패의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패의 순간 좌절하지 않고 끊임없이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잦아지고 강해질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방향에 대해서는 동의가 이뤄져 있다”고 설
명
했다. 이유는 기후변화다. 지구 평균 기온이 오르면 대기가 최대로 머금는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이런 상태에서 여름철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대기가 위로 올라갈 때 주변에 있던 수증기까지 끌어올린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