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d라이브러리
"
두개골
"(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교수는 tDCS가 만성통증 치료에 정말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두개골
이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류를 흘려줘도 뇌 속으로는 거의 들어가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직접 전류를 흘리는 tDCS 대신 자석을 이용한 TMS를 많이 연구해 왔다. 파울루스 교수는 “연구 결과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중생대 쥐라기(약 1억 9000만 년 전)에 살았던 포유류(몰가누오코돈, 하드로 코디움)의
두개골
화석을 컴퓨터 단층촬영(CT)과 엑스선촬영으로 재구성했다. 이 동물들은 쥐처럼 생긴데다 감각기관 발달정도와 뼈의 형태가 포유류와 비슷해 고대포 유류로 분류된다.연구팀이 이들의 뇌 용량과 비강(콧속 ... ...
모나리자 미소 비밀 풀릴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의 유해가 묻힌 이탈리아 피렌체 성우르술라 수도원지하에서 여성의 것으로 보이는
두개골
과 갈비뼈 등을 발굴했다. 유골이 리자의 것으로 밝혀지면 골격과 DNA 기법을 통해 그녀의 얼굴을 가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탈리아 과학계는 500여 년 전 그려진 그림의 모습과 실제 얼굴이 얼마나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보이지 않았던 외상을 살필 수 있다. 그 뒤 톱으로
두개골
을 자르고 열어 뇌를 꺼낸다.
두개골
밑바닥과 뇌에도 외상이 없는지 살피고 뇌 조직은 현미경 샘플로 만든다. 피가 많이 몰려 있는 허벅지 윗쪽에서 혈액(말출혈액)을 채취하면 일산화탄소와 혈중알코올 농도뿐 아니라 약물과 독극물이 ... ...
알 품은 익룡 화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무척 어려웠는데, 저로 인해 암컷은 볏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또 익룡의
두개골
과 골반 뼈화석만 있으면 성별을 알 수 있게 됐답니다. 게다가 수컷의 볏이 경쟁자를 위협하거나 암컷을 유혹하는 데 쓰였다는 것도 알게 됐어요.오호~, 놀랍군요. 또 풀린 숙제는 없나요?제가 품고 있던 알을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초기 인류는 직립보행을 했다는 점 외에는 침팬지나 고릴라 등의 유인원과 두뇌 용량,
두개골
및 치아 형질이 비슷하다. 또 나무 위에서도 활동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파렌시스 이후 남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에 넓게 퍼진 인류 조상은 기후 환경이 점차 차고 건조해지면서 살아 남기 위해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게놈 프로젝트를 이끈 스반테 패보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인류학부장이 네안데르탈인
두개골
화석을 들고 있다. 작년 그의 연구팀은 현생인류의 게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일부 섞여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현대인 게놈 일부 네안데르탈인의 것”2010년 5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 ...
익룡은 새보다 악어에 가깝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추정했다. 수컷은 골반이 작고
두개골
에 커다란 볏이 달려 있는데 암컷은 골반이 크고
두개골
에는 볏이 없다. 다위노프테루스의 알은 작고 껍데기가 얇다. 비슷한 크기의 새가 낳는 알 크기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았다.연구팀은 “새가 탄생할 쯤에는 알껍데기가 두껍게 진화했다”며 “배아를 키울 ... ...
총격 당한 미국 연방하원의원, 뇌수술 받고 살아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 애리조나 주 총기사건으로 머리에 총상을 입은 가브리엘 기퍼즈 미국 민주당 연방하원의원이 뇌수술을 받고 목숨을 구했다. 애리조나 투산대 병원의 의료진은 뇌가 부풀어 뇌압이 상승해 뇌가 손상될 것을 우려했다. 뇌압을 줄이기 위해
두개골
의 절반을 일시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을 했다.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2억 만 년 전에 살았던 초식 공룡의 조상으로, ‘이저우사우루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두개골
은 넓은 돔 형태이며, U자 모양의 턱은 뒤의 용각류와 비슷하다. 과연 이조우사우루스는 초기 용각류 의 진화 과정을 밝힐 수 있을까?단서3 트리케라톱스와 토로사우루스는 알고 보니 같은 공룡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