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어리
d라이브러리
"
덩이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않았더라면 노래에서처럼 맛있는 고등어구이를 먹을 수 없을는지도 모른다.그러면 고철
덩이
에 불과한 컴퓨터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는 도대체 어디에 보관할까. 이에 대한 지식없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집에 냉장고가 어디 있는지 알아보지도 않고 요리를 하겠다고 하는 것과 같다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부어넣는 일. 권교수가 찾아낸 우리말로는 무질부리라고 부른다. 무질부리 가마에다 봉쇳
덩이
나 판장쇠를 숯과 함께 넣고 가열해(여기서의 온도는 8백℃) 쇳물을 만들어 거푸집에 붓는다. 무질부리의 특징은 숯을 많이 넣고 침탄을 일으켜(탄소를 많이 스며들게 하는 것) 융점을 낮추는데 있다.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발견이라 일컫고 있다. 우주탄생의 씨앗그러면 이렇게 온도변화를 보이는 태초의 불
덩이
들의 존재는 우주의 생성과 진화에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 이 물리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현재 과학자들이 집약한 우주기원에 대한 표준모델이 무엇인지 알아보자.우주 역사에 대한 설명은 우주가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만들었다.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파(α)별 알데바란(Aldebaran)으로 화로 속의 숯
덩이
처럼 붉은 빛으로 타오르고 있다. 이 별은 오렌지색 초거성으로 태양의 490배에 달하는 지름과 1백배 정도의 밝기를 가지고 있다. 알데바란이란 이름은 '뒤따르는 자'를 의미하는 아라비아 말에서 비롯됐는데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 넘는 고온의 불
덩이
가 생기면서 그 내부의 모든 것은 마치 녹아버리듯이 탄다. 이 불
덩이
는 직경이 2.4㎞에 이르고 수십 ㎞ 밖에서 이 섬광을 본 사람은 순간적으로 시력을 잃게 되며, 60㎞ 밖에서도 태양보다 훨씬 밝게 보인다. 폭발지점으로부터 약 10㎞ 이내에 있는 사람은 3도 화상을 입고 옷은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피부와 손발 등은 아주 예민한 촉각센서다. 보드라운 솜으로부터 딱딱하고 울퉁불퉁한 돌
덩이
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손가락센서는 그 강도나 수축률 등을 감지하여 물체를 만지거나 집어올릴 때에 잡은 힘의 조절을 행하는 느낌소자로 작동한다. 이에 반해 인공촉각센서는 반도체나 유전체(誘電體 ... ...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습관적인 것이지요"라고 그는 당시를 되돌이켰다.지질학자가 거대한 소금
덩이
를 깨뜨리자 그 안에서 붉고 푸른 줄이 드러났다. 로스실드는 직감적으로 그것이 어떤 종류의 박테리아에 의해 생기는 색깔이라고 생각했다.그는 이 기묘한 소금결정 샘플을 자신의 실험실로 가지고 가서 현미경으로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NGC6979는 앞의 두 특색있는 이웃들과는 달리 약 2분의 1°직경의 형태가 뚜렷하지 않은 빛
덩이
다. 망원경은 불가능, 맨눈은 가능백조자리속의 또 다른 유명 천체는 NGC7000인 '북아메리카 성운'이다. 우리 은하속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별들 가운데 가장 밝고 뜨거운 별인 데네브의 약 3° 동쪽에 위치한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주위에 흩어져 있는 1백50여개 구상 성단 중 하나다. 맑은 밤에는 맨눈으로도 뿌연 안개
덩이
형태의 M13성단을 알아 볼 수 있다. 쌍안경을 이용하면 보름달의 3분의1정도 지름을 가진 구형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밝기는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별들이 더 집중돼 있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발견했다. 그러나 메시에는 이를 별이 없는 성운으로 알았고 1774년 보데도 매우 밝은 빛
덩이
로 기록했다. 이것을 허셸이 처음으로 별들로 분해해 관측했고 스미스에 의해 완전히 확인됐다.8인치 망원경 고배율로 보면 M10은 희미한 우유빛 아지랭이로 둘러싸인 밝은 공모양으로 보인다. 10인치 망원경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