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선택 공리는 여러 집합의 모임이 주어졌을 때,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할 수 있다는 거예요. 이는 자명해 보이지만 이 정의를 인정하는 순간, 수많은 기이한 결론이 도 ... 공리와 비구성적 논증이 제기하는 수수께끼는 여전히 수학, 논리학, 그리고 철학의 난제로 남아 있습니다 ... ...
- 가장 순수한 외계운석 생명기원설 증거 될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운석은 우주공간을 떠돌던 유성체가 지구로 유입돼 대기 마찰에 다 타지 않고 남아 지표면에 떨어 진 잔해물입니다. 윈치콤 운석은 약 46억 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 로 추정됩니다. 태양이나 지구의 나 이와 비슷하죠 . 당시 생성된 물질인 C-콘드라이트(탄소질 콘드라이트)가 운석에 함유돼 있어 ...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하지만 고생물학의 다양한 발견들은 한번 잘 확립된 특징들이 매우 오랫동안 생물계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줍니다. 진화의 위대한 점은 바로 이 점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최승. 중국과학원 척추동물 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화석알과 ... ...
- 진실 혹은 거짓, 멘델은 완두콩으로 무슨 일을 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주름잡힌 완두콩이 발견된 것이다. 현대의 과학사학자들은 충분한 사료와 증거가 남아 있지않아 데이터 조작의 고의성은 알 수 없지만, 멘델의 이론은 맞았다고 결론짓는다. 웰던은 멘델이 의도하지 않았지만, 실험 결과를 해석하면서 완두콩을 두 가지로만 분류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 썼다. 피셔 ... ...
- [인포그래픽] 1억 2천만 년 전 한반도의 유산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걷던 한 공무원의 눈에 이상한 암석이 띄었다. 암석에는 동물의 하반신 골격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공룡화석, 그것도 그간 발견되지 않았던 신종이었다. 이 공룡에는 ‘화성에서 발견된 한국의 뿔공룡’이란 뜻의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Koreaceratops hwaseongensis)’란 이름이 붙었다. ... ...
- [특집] 수학자가 사랑하는 체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폰을 얻는다면 손해 보는 수를 둔 것이지요. 이렇게 내가 움직일 기물 또는 체스판에 남아있는 기물의 가치 점수를 더하고 빼면서 누가 더 유리하고 불리한지를 계산해요. 유튜브 채널 ‘체스인사이드’를 운영하는 성진수 대표는 “체스 게임을 하면서 암산 능력, 수치 해석 능력, 상황 판단 능력을 ... ...
- 몸집 작은 상어와의 먹이경쟁에 밀려 멸종? 메갈로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밝혔다. doi: 10.1126/sciadv.abm9424 대형 육식 동물 먹는 메갈로돈, 최애 간식은 ‘향유고래’남아있는 화석은 대부분 이빨이라 메갈로돈 연구가 쉽지 않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메갈로돈이 남긴 수많은 이빨은 메갈로돈이 즐겨 먹는 음식을 알게 해주는 데 충분했다. 이빨은 암석처럼 단단한 물질인 ... ...
- [특집] 숫자로 보는 별별 월드컵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월 30일 펼쳐지는 맞대결에서 과연 누가 이길까요? 개최국인 카타르와 가장 먼 나라는 남아메리카의 에콰도르예요. 두 나라 간의 거리는 약 13,992km로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거리의 약 3분의 1이지요. FIFA 세계 랭킹 10위 안에 드는 국가대표팀 중 유일하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나라는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센서가 고장 난 것도 아니고, 내 몸무게가 보통 사람의 10배인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남아있는 가능성은 하나.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저 공간에 사실은 무언가가 있다. 공포영화의 한 장면 같은 현상이다. 그런데 이런 현상이 실제로 우주에서 관측됐다. 우리가 빛(전자기파)을 이용해 관측할 수 ... ...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플래닛 5종 경기 고딱지 대표선수 출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참가자들은 주위를 두리번거리더니 하나둘씩 칸을 골라 들어갔습니다. 딱지도 남아 있는 칸 중 하나를 골라 들어갔습니다. 모두가 칸 안에 들어가자 바닥에서 울타리가 올라오며 각각의 칸을 분리했습니다. 동시에 바닥에서 무릎 높이의 초록색 풀이 자라나 칸 안을 빼곡히 채웠습니다. “자, 첫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