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뼈마디
골관절
마디
조인트
뼛마디
d라이브러리
"
관절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발견됐다. 미국 노스웨스턴 의대와 시카고 재활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퇴행성 무릎
관절
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에게 가짜 약을 처방한 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를 관찰했다.그 결과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이며 통증이 크게 줄었다. 이 때 뇌의 중전두회 영역이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각각의 쌍을 찾아내는 연습을 한다. 허벅지 뼈와 정강이 뼈처럼 서로 연결되는 뼈라면
관절
부분을 맞대보면서 같은 사람의 뼈인지 판단하는 훈련을 하기도 한다.뼈의 크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덩치가 큰 사람일수록 뼈의 크기도 더 크기 때문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미국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유리하다.하지만 큰 몸집이 좋기만 한 건 아니다. 몸집이 너무 비대하면 뼈나
관절
에 문제가 생기거나 혈액이나 호르몬이 잘 순환하지 못하는 등 생리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너무 커진 바람에 잘 뛰지 못해서 포식자에게 금방 잡아 먹히거나 짝짓기 경쟁에서 밀릴 수도 있다. 이런 개체는 후대에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하는지,
관절
이 어디에 있는지 무의식 중에 알려준다. 덕분에 우리가 눈으로 근육과
관절
의 위치를 알지 못해도 원하는 대로 자세를 취하거나 마음대로 움직이면서도 다치지 않는 것이다. 어렸을 때 누구나 한번쯤은 ‘나에게도 초능력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책상에 놓여진 물체를 ... ...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사람 손의 움직임을 스스로 학습하는 로봇을 개발해 발표했어요.연구팀은 24개의
관절
과 40개의 구동장치로 이뤄진 손 로봇, 그리고 이 로봇을 조종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이 프로그램은 손 로봇이 움직이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해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수정해 줘요. 즉, 올바른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더해진 것은 1500년대에 들어서서였다. 프랑스 외과의사 앙브루아즈 파레는 최초로
관절
이 있는 의수를 선보였다. 물론 혼자서는 움직일 수 없고, 다른 손으로 팔꿈치 각도를 조절해야 했다. 그래도 대단한 기술이었다. 파레는 외과의사라고는 믿기 힘들 정도로 기계공학에 조예가 깊었다. 그의 왼팔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여러 개일 수 있다는 데 착안하고 함수를 만들었다. 즉, 사람의 자세를 결정하는
관절
의 각도와 위치를 변수로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그림자가 목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했다.연구팀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코끼리와 토끼처럼 복잡하게 생긴 동물에 대해서도 적절한 동작을 찾아내는 데 ... ...
[과학뉴스] 아침에 몸이 찌뿌드드한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생성 주기가 무너지면서 세포에 염증반응이 증가했다. 윤활막세포의 염증은 염증성
관절
염을 유발할 수 있다.깁스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단백질의 생체주기를 고려한, 더 효과적인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실험생물학회지’ 8월 3일자에 실렸다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간격으로 촬영한 뒤 사진들을 보정하고 종합해야 한다. 더구나 치아 임플란트나 인공
관절
을 쓴 경우는 사진을 수학적으로 변환해 처리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게 현재 의료 영상 분야에서 큰 화두다.김상연 마지막으로 한국의 수학 연구 수준이 궁금하다. 외국에서는 수학에 대한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한참 시간을 들여 10진법으로 환산해 보니 1249라는 숫자였다.‘곰이라는 거야 뭐야?’대
관절
무슨 단위를 쓰는 건지는 알 수 없었지만 킬로그램이 아닌 것은 분명했다.외할머니의 죽음이 기억에서 사라질 때쯤 그 이상한 체중계 또한 은경의 관심에서 사라져버렸다. 그래도 이삼 일에 한 번씩은 그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