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유"(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활동하는 동기가 되나요? 내가 측정하고 관측한 데이터가 모여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는 것, 나 또한 다른 시민과학자가 측정한 데이터에 접근해 새로운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것, 이런 데이터의 교류로 전 세계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원동력이 됩니다. 지사탐 대원들은 ... ...
- [이달의 아이템] 봄 나들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나우+ (폴라로이드 / 21만 9000원)이제는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사진을 찍고,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시대다. 하지만 피어난 꽃을 바라보며 느낀 감성을 담아내기에 디지털 사진은 뭔가 부족하다. 그럴 땐 아날로그 감성이 넘쳐 흐르는 폴라로이드 카메라가 제격이다. 즉석카메라 중 유일하게 DSLR ...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교수님과 숄체 교수님은 자신이 연구하는 내용을 내 팬 사이트(린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공유했지. 숄체 교수님의 연구에 참여하고 싶었던 수학자들은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교수님의 증명에 필요한 정리와 정의 등을 입력해 줬어. 그렇게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내가 계산을 끝마치는 데 약 ... ...
- [탐험대학] 당신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응원합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멘토링을 지원했다. 이날 수료식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그간 연구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최종보고서를 토대로 선정된 수상자 발표가 이어졌다. 기후위기부터 실생활까지, 각양각색 아이디어 각축전K-REM은 청소년들이 로봇, 환경, 인공지능, 게임 등 주제를 자유롭게 선정한 뒤, 관련 ... ...
- [과학 뉴스] 개미의 아버지 ‘에드워드 윌슨’ 교수, 하늘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개미를 발견했어요. 또한 개미가 페로몬을 사용해 서로 소통하고, 먹이가 있는 위치를 공유한다는 사실도 알아냈죠. 이를 바탕으로 동물의 사회 행동도 진화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주장은 초기에 많은 반대에 부딪혔지만, 지금은 널리 인정받고 있지요.윌슨 교수는 생물학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폴리매스 회원이여 모여라!’수학 멘토 군단 ‘폴리매스 어셈블’이 결성되었습니다.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출신 대학생 멘토 6명이 재미있게 생각해 볼 만한 ‘창의 ... 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요. 앞으로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해서 폴리매스 회원들에게 공유하고 싶어요 ... ...
-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 신진 작가 김상현 씨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네트워크 작업장에서 만났다. 앙코르 네트워크 작업장은 신진 시계기술자들을 위한 공유작업장이다. 이곳에서 신진 시계기술자들은 기존 시계기술자들과 교류하며 노하우를 물려받는다. 김 씨 또한 올 1월부터 이곳에 입주했다. “기술자를 넘어 창작자가 되고 싶습니다.” 다양한 배움을 통해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새활용)하기 위한 장치의 설계를 공유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활동을 하며 폐플라스틱 오염의 부정적인 면을 볼 수 있었다. Q. 플라스틱 스캐너 개발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플라스틱을 재활용할 때 분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 ...
- [특집] 과학 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들여다 볼게요. 물은 수소 원자 2개와 산소 원자 1개로 이뤄져 있습니다. 세 원자는 ‘공유 결합’이라는 형태로 묶여있는데, 이들이 이루는 각도는 104.5예요. 액체 상태인 물 분자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입니다. 그러다 열을 빼앗기며 얼음이 되면서 분자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모여요. 이때 ... ...
- [기획] 2022년 안에 코로나 팬데믹 종식 어렵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분석을 주도한 칼 피어슨 영국 런던 위생학열대의학 대학원 교수는 그 결과를 트위터에 공유했습니다. 동료 심사를 거치거나, 과학 저널에 게재되지 않았지만, 오미크론을 분석한 최신 연구로 의미가 있습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나온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중 가장 전파력이 강하다고 추정하는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