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단계입니다. 이외에도 플라스마를 운전하는 기술과 시뮬레이션 기술 등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박차를 가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미래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선 현재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으로 다가온 기후위기 해결에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화 후 목표 연소시간인 140초를 넘어서 151초간 안정적으로 연소된 뒤, 상공 200km 이상 고도까지 도달했다가 제주도에서 일본 오키나와 사이에 있는 공해상에 떨어졌다. 우리 독자기술로 개발한 75t급 액체엔진의 비행 성능이 확인된 것이다. 시험발사체의 성공 발사는 2021년 예정된 누리호 발사가 ... ...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빙하가 빨리 녹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스웨이츠 빙하가 있는 서남극 대륙은 해발고도가 해수면보다 낮고, 따뜻한 바닷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돼 얼음 아래를 녹이고 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스웨이츠 빙하에서 현재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빙하 유출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는 무엇인지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진들도 산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데, 2015년 발생한 규모 8.1의 지진이 에베레스트산 고도에 미친 영향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이번에 측정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2~3개월 후 정확한 산의 높이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동작한 걸 확인한 뒤, 20~40분 정도씩 네 번 더 점화했다. 이를 통해 근지점과 원지점 고도가 모두 3만6000km인 원형궤도에 진입했다.목표궤도에 진입하는 사이 위성은 자신의 위치를 더 정확히 알기 위해 태양이 아닌 멀리 떨어진 별을 기준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지구지향모드로 전환했다.하지만 여기서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인해 서리의 성분인 메탄이 높은 고도에 몰려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메탄이 높은 고도에 계속 유입돼 응축되면 산 꼭대기에 메탄 서리가 형성되지만, 메탄이 부족해진 산 아래에는 서리가 형성되지 않는다.탕기 베르트랑 NASA 연구원은 “이번에 밝혀낸 명왕성 내 메탄의 순환 과정을 토대로 명왕성에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대해 쌓아온 정보를 모았어요. 북극과 남극 지형의 높낮이는 NASA의 달 궤도선 레이저 고도계로, 달의 적도 지역의 높낮이는 일본 항공우주개발기구의 달 궤도선 ‘셀레네’가 측정한 정보를 종합했지요. 연구팀은 지질의 특성과 지형에 따라 색을 다르게 표현했어요. 지도를 보면, 각 지역이 어떤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초소형비행체’를 개발 중이지요.제가 연구하는 곤충 중에는 공기가 희박한 높은 고도에서 이동하며 겨울을 나는 ’왕나비’가 있습니다. 일본의 동료와 얘기를 나누다 화성의 대기도 희박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곤충을 닮은 비행체가 화성에서도 날 수 있을지 궁금해졌죠. Q. 요즘에는 마스비와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클라우드 기술과 AI 기술이 고도화되고, 융합하면 자비스처럼 수많은 정보를 분산 저장, 처리하는 AI 인공지능 비서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아가 집안일 또는 회사일을 돕는 AI 로봇도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특히 고다드는 1926년 액체 연료를 이용한 로켓을 처음으로 개발해 약 2.5초 만에 최고 고도 12m까지 날리는 데 성공했죠.고다드가 만든 로켓은 엔진을 로켓의 윗부분에 단 것이 특징입니다. 엔진에서 만들어내는 힘이 로켓 전체를 안정하게 끌어당길 수 있을 거라 예상한 거죠. 그래서 엔진을 윗부분에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