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d라이브러리
"
해독
"(으)로 총 5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04
등 디지털증거를 남기지 않으려 노력했다. 그러나 디지털포렌식 수사로 복잡한 암호를
해독
했으며, 피고가 숨기지 못한 디지털증거를 찾아 피고가 서 씨와 만났다는 사실을 밝혔다.재판장 피고 측 변호사 반대 신문하세요.변호사 복원한 스테가노그래피에 피고와 서 씨가 만나 설계도를 넘기기로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03
첫 결과로 박테리아 178종의 게놈을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까지 총500여 종의 게놈을
해독
한 상태다.‘네이처’ 1월 27일자에는 장내 미생물인 비피더스균이 아세트산염을 분비해 인체에 치명적인 대장균 O157 같은 병원체를 무력화시킨다는 사실이 보고됐다. 아세트산염이 O157이 분비하는 독소가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02
독일, 프랑스 5개국이 주도했다. 미국의 바이오기업 ‘셀레라 지노믹스’는 별도로 게놈
해독
을 하고 있었다.이 시기,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던 단백질체 연구를 시작했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 다음은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했기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02
발표해 일약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에 오른 아인슈타인일까. 독일군의 암호를
해독
하고 컴퓨터의 기초를 다졌지만 동성애로 비난받다 자살한 앨런 튜링도 떠오른다.이들처럼 대중에게 잘 알려진 과학자는 아니지만 이들 이상으로 극적인 삶을 산 과학자가 있다. 1987년 일산화탄소가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02
다른 동물들이 소화하지 못하는 섬유소를 단백질로 바꾸고 독성이 있는 잎을
해독
할 수 있다. 생태계에서 유일하게 애벌레를 비롯한 초식동물만이 이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이 특별한 능력 탓에 애벌레와 초식동물은 다른 동물들로부터 생존의 위협을 받으며 살아간다. 특히 애벌레는 단백질이 ... ...
생생한 대자연 속으로! 호주생태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4
가 봐! 리틀펭귄의 매력에 푹 빠질 거야.캥거루 코알라코알라의 간은 유칼립투스의 독을
해독
해 오줌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잘근잘근 씹은 잎을 위 속에 최대 200시간 동안 두고 위 속 미생물을 이용해 발효시켜 영양분을 흡수한다. 테즈메니안 데빌밤에는 마치 악령이 붙은 것처럼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12
한국인 고유의 유전정보로 나타났다. 맞춤의학이 성공하려면 먼저 손쉽게 자신의 게놈을
해독
할 수 있어야 한다.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는 한 사람의 게놈 지도를 만드는 데 27억 달러(약 3조 원)라는 천문학적인 돈이 들었지만 김 소장은 2억 5000만 원에 그쳤다.김 소장은 “게놈 연구자들을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1012
연구팀은 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등 7개 나라와 동으로 배추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
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연구 결과 배추의 2번 염색체는 3190만 개의 NA 염기로 이뤄져 있었다. 또 평균 4600개의 기 서열을 갖는 유전자 7058개가 들어 있었다. 여기에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 등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들어 있어요. 단백질은 생명체에 매우 중요한 물질이지요. 그런데 이 유전자 암호를
해독
해 단백질을 만드는 데 에는 어떤 기관의 도움이 필요해요. 세포 속 아주 작은 기관, 바로 리보솜이에요!이 리보솜은 생명체가 생기기 전부터 있었을 거라고 많은 과학자들이 말하고 있어요. 그러니 생명체가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11
박탈당했다. 뛰어난 수학재능으로 나라에 도움이 되는 인재가 되길 꿈꿔왔던 그는 암호
해독
에 집착하며 환각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후 정신분열증으로 그의 연구는 중단되었고, 만 40세를 넘겨 필즈 메달을 받을 기회를 영영 놓쳐야만 했다.하지만 내시는 거기서 인생을 포기하지 않았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