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어"(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05
- 그는 1644년 삼각형을 표기하기 위해 △abc를 사용했다. 현재 표기와 차이점이 있다면, 영어 알파벳 대문자가 아니라 소문자를 사용한 것이다. 현재는 삼각형이나 각도를 표현하기 위해 ∠AOB나 △ABC라고 쓰지만, 헤리곤은 ∠abc, △abc와 같이 소문자를 사용했다. 한편, 헤리곤은 1634년 〈수학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04
- 없이 비행기를 타고 스페인 바로셀로나의 숙소까지 찾아가야 하는 것이었다. 시청자들은 영어가 서툰 할배들이 비행기 수속과 탑승, 그리고 입국 수속까지 마치는 과정을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바라봤다. 결국 할배들은 우여곡절 끝에 바로셀로나의 숙소에 도착할 수 있었다.그런데 이렇게 할배들이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04
- 수사 파일을 지금 공개한다! H5N8형 바이러스가 뭐지?AI는 조류인플루엔자를 뜻하는 영어(Avian Influenza)의 줄임말이다. 조류인플루엔자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주로 조류에서 발견되지만 드물게 사람이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조류인플루엔자에 걸린 조류들은 기침과 호흡 곤란 같은 호흡기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03
- 사실인지 아닌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을 영어로 번역한 책을 살펴보니, 그 어디에도 이 이야기가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말이 나와 있지 않다. 단지 수수께끼를 소개하고 그 답안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즉, 현재로서는 디오판토스 묘비에 관한 ... ...
- ÷가 상형문자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수학동아 l201403
- 심지어 스칸디나비아의 몇몇 국가에서는 이 기호를 20세기까지 빼기로 사용했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이 기호를 항상 나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해 왔다.÷는 1659년 스위스의 수학자 존 란의 책 에서 처음 나누기기호로 사용됐다. 그는 나누기 기호뿐만 아니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수학동아 l201402
- 나갔다. 그런 가운데 겨우 알아들으며 영어로 질문하는 학생들을 위해 답변과 대화는 또 영어로 해 주기도 했다. 나는 한국 학생들을 데리고 한국어로 보충수업을 했는데, 그 비슷한 활동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인도어로 진행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그 계기를 마련해 준 4명의 한국 학생 ... ...
-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수학동아 l201402
- 풀기 위한 체계적인 해법을 내놓으며 대수학이라는 학문을 이끌어냈다. 대수학을 뜻하는 영어 단어 ‘Algebra’는 그의 저서로부터 기원했고, 알고리즘이란 단어도 그의 이름에서 비롯됐다. 그의 업적은 라틴어 번역을 통해 유럽으로 퍼져 나갔고, 이는 유럽의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02
- 여섯 번째 달을 의미하는 ‘섹스틸리스’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아우구스투스(Augustus, 영어의 August)’로 바꿨다. 권력자의 과욕에 따라 달의 이름이 바뀐 것이다. 어쨌든 율리우스력은 1년을 365일로 하되, 지구의 공전 주기는 365일보다 약간 길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 4년마다 한 번씩 윤달을 뒀다.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01
- 배열된 모양에 따라 특유의 결정 형태가 나온다. 흥미로운 것은 단어의 어원이다. 결정은 영어로 ‘crystal’이라고 하는데, 그리스어로 얼음을 뜻하는 ‘crystalos’에서 유래했다. 우리나라에서도 결정의 이미지를 갖는 수정의 한자 ‘水晶’ 역시 물에서 유래했다. 결정이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는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01
- 꼬집었다. “국내 과학계가 해외 학술지 게재를 중시하는 바람에 과학자들이 영어 논문만 쓰게 되면서 우리말로 학문을 할 수 없게 됐습니다. 앞으로 우리말로 제작된 대표학술지를 만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먼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