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0,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06
- 릴리움 제트 시제품은 2인승으로, 무게 600kg 안팎에 6개의 배터리를 써서 최고 시속 300km의 속도로 300km 이상 날아갈 수 있다. 릴리움은 현재 항공택시에 이용할 5인승 플라잉 카를 개발 중이다. 항공택시가 상용화되면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자동차로 55분 걸리는 존에프케네디국제공항까지 5분이면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06
- 하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상황을 배울 수 있다고 밝힌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지요. 지금까지는 뒤영벌이 꽃 속의 꿀을 먹는 상황처럼 익숙한 상황을 실험했거든요.로우콜라 교수팀은 뒤영벌이 한 번도 접해 보지 못한 문제 상황을 만들었어요. 파란색 원판 위에 노란색 공을 올려둔 뒤, 뒤영벌이 5분 안에 공을 가운데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3월 중순이 되면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해요. 그러면 노루귀가 땅 밖으로 고개를 쏙 내밀지요. 눈을 헤치고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파설초’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노루귀의 모습을 보면 이름의 뜻을 바로 알아챌 수 있어요. 잎의 모습이 노루의 귀를 닮았거든요. 새끼손가락 하나 정도 ... ...
- [수학뉴스] 올해 미국 최고의 직업은 통계전문가수학동아 l201706
- 자료를 통합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에 통계가 쓰이기 때문이에요.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가치 있는 데이터를 발굴해 미래를 예측하는 일도 통계전문가의 몫이지요.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마이닝’은 통계를 모르고서는 할 수 없거든요.통계전문가가 할 수 있는 직업에는 신약 개발을 ...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수학동아 l201706
- 하지요.아키네이터의 배후, 개념을 지배한다?아키네이터는 아직 상대방의 마음속에 있는 인물만 맞힐 수 있는 질문 더미일 뿐입니다. 그러나 아키네이터의 뒤에 있는 강력한 배후를 발견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컴퓨터가 모든 사람과 사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웹인 ‘시맨틱 웹’입니다.1993년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06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06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06
- 발굴하기도 했다.호크 교수는 “이번 추가 발굴로 호모 날레디가 멀고 어두운 동굴 속에 시체를 의도적으로 두고 갔다는 가설에 무게가 실리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실렸다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06
- 있을 때처럼 눈을 뜨거나 양수를 삼켰고, 활동적으로 움직였다. 연구팀은 인공자궁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양 태아의 3분의 1 크기인 사람 태아를 위해 시스템을 소형화할 계획이다.2004년 우리나라도 인공자궁 만들었다사실 인공자궁 연구는 꽤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997년 일본 준텐도대 연구팀은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