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랏빛
보라
보라빛
바이올렛
오랑캐꽃
제비꽃
자줏빛
d라이브러리
"
보라색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08
창백한 푸른 후광이 둘러 있었다. 이 띠는 점차 어두워졌다가 다시 청록색, 푸른색,
보라색
으로 변했다.” 그는 시속 2만9천km로 지구를 돌면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지구의 모습을 이렇게 묘사했다.가가린이 지구를 한바퀴 돈 후 보스토크 1호에서 탈출한 시간은 발사한지 1시간 48분 뒤였다. 그리고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04
아니라 아이스크림 콘같은 고깔 모양이다. 빨간색 빛은 중심각이 42˚인 고깔 모양으로,
보라색
빛은 중심각이 40˚인 고깔 모양으로 물방울에서 나온다. 즉 무지개가 원형인 이유는 물방울이 원형이기 때문이다. 만약 물방울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이나 삼각형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모양의 무지개를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01
푸른색을 나타낸다.(그림7)용액의 산성도에 따라서 다른 색깔을 나타내는 물질은
보라색
의 양배추 즙에도 들어있다. 여러 종류의 색소가 포함된 양배추즙은 용액의 산성도에 따라서 붉은색에서 노란색까지 다양한 색깔을 나타낸다. 이처럼 용액의 산성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물질을 지시약이라고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09
있으며, 이 빛도 가시광선처럼 반사하고 굴절한다는 것을 알아낸다. 1801년 독일의 리터는
보라색
을 넘어선 곳에 있는 광선이 감광작용이 있음을 알아냈다. 결국 1881년 스펙트럼 분광기를 개발한 랭글리에 의해 적외선과 자외선의 존재가 밝혀진다.이후로는 1895년 독일의 뢴트겐이 음극선을 연구하다 ... ...
파란 장미가 생긴다.
과학동아
l
199807
초록색과 어우러져 보랏빛을 띤 짙은 청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꽃의 파란색이란
보라색
을 띤 청색일 뿐이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파란 꽃이란 없다고 할 수 있다.새로운 문제는 유전자 변형 카네이션이 꽃을 잘라 꽃병에 꽂았을 때 오래 살 수 있느냐는 것이다. 수확한 카네이션은 신선도를 ... ...
양자가설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804
시작했다(그림2). 빈은 여기서도 뛰어난 공헌을 했다. 스펙트럼 중 파장이 짧은 쪽, 즉
보라색
과 파란색을 아주 잘 예측하는 공식을 생각해낸 것이다. 빈은 검은 상자 속을 채우고 있는 빛의 에너지가 상자 속에서 움직이는 기체 분자의 에너지의 모양과 비슷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하나의 식을 ... ...
창의성을 기르는 5가지 방법
과학동아
l
199803
대체로 요오드 용액을 너무 많이 떨어 뜨려서 검은색이 되어버린 녹말가루를 보고도 "
보라색
이요"라고 대답했다. 그런데 교사도 학생도 이 대답에 이의를 달지 않고 다음 활동으로 넘어갔다. 이처럼 실험과 관찰을 통해 자신의 눈으로 직접본 것보다 교과서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비판적 사고가 ... ...
색채착시
과학동아
l
199802
파란 꽃이 눈에 띈다고 해서 실제로 파란색으로 지각되는 것은 아니다(경험적으로 볼 때
보라색
으로 느껴진다). 원추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 간상세포는 단지 명암만 인지할 뿐 색상을 구분하지 못한다. 그래서 디스코텍에서 파란 옷을 입은 사람 눈에 잘 띄기는 하지만 ... ...
② 자연요법7: 색깔요법
과학동아
l
199707
빨강색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반면 파랑색은 혈압을 떨어뜨린다.심홍색은 빨강색과
보라색
이 합쳐진 색으로, 두통과 편두통을 없애는 한편 사랑과 동정, 그리고 포용력을 갖게 해준다.여러 색깔 중 가장 강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색은 초록색이다. 신장이나 간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12
다르다 눈에 보이는 빛, 가시광선도 렌즈를 통과하면 파장이 긴 빨간색과 파장이 짧은
보라색
으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분산된다 결국 렌즈를 통과한 상(像)은 선명하게 초점이 잡히질 않고 어른거리게 되는데, 이 현상을 색수차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렌즈를 하나만 쓰면 색수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