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스페셜
"
부분
"(으)로 총 1,9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를 알면 전자제품이 보인다.
KAIST
l
2013.04.30
트랜지스터 1개, 저항 3개, 커패시터 1개를 배치한 것이다. 킬비의 목적은 부품을 관련된
부분
끼리 모아서 전자제품을 작게 만들려는 것이었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자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집적회로는 등장하자마자 전자공학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소형화와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엿볼 수 있다. 퀄컴은 보유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ETR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부족한
부분
을 채울 기회를 얻고 도약의 발판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일단 시장이 형성되고 나자 퀄컴은 철저한 수성 전략을 고수했다. 한때 하드웨어 생산에 눈길을 돌리기도 했지만 퀄컴은 자신들의 강점이 기술에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다. 각 사진 왼쪽 위의 주황색이 가리개다. 맨 위에서부터 보면 가리개의 오른쪽 막힌
부분
이 두 슬릿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크린에 도달한 전자가 없다. 가리개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슬릿1이 열리고 스크린에 전자가 검출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가리개가 이동하면서 슬릿2까지 열리기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 있다고 주장했다. 참고로 호르몬이란 한 장기에서 만들어져 혈관을 타고 몸의 다른
부분
으로 이동해 특정 세포에 자극을 주는 조절 물질이다. 표적이 되는 세포 표면에는 호르몬이 달라붙은 수용체가 있다. ●같은 오메가3지방산도… 해설에서 호르몬 역할을 하는 식품 속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보면서 ‘그래 저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쳤다. 끝으로 퉁구스카 사건을 묘사한
부분
일부를 옮겨놓았다. “1908년 6월 30일 아침은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했다. 아침 8시 집 앞 계단에 앉아있던 농부 세르게이 세메노프는 하늘에서 엄청난 폭발을 목격했다. 훗날 세메노프가 과학자들에게 진술한 바에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쓴 편지에서 하젠욀의 논문을 읽어봤느냐고 물어봤지만 아인슈타인은 답장에서 이
부분
은 언급하지 않았다. 사실 아인슈타인 역시 자신의 1905년 논문에 대해 만족하지 못했다고 한다.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설정한 점입자라는 가정을 하젠욀처럼 부피가 있는 입자로 바꿔 즉 일반화해 증명하려고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자기 테이프나 CD, 하드디스크 같은 매체에 자화돼 기록되는데 수십 년이 지나면 상당
부분
손상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중요한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다시 기록해야 한다. 한편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나 운영프로그램의 급속한 변화로 막상 있어도 꺼내 볼 방법이 없는 데이터도 많다. 지난 2010년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지난 2011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헤마글루티닌의 줄기영역에서 항원이 되는
부분
을 인식할 수 있는 단백질 조각을 디자인해 실제로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공 항체인 셈이다.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을 보면 언젠가는 독감예방접종을 맞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치부했던, 유전자와 관련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게놈의 90% 이상을 차지)의 대
부분
이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놈 전체를 봐야한다는 브리튼의 혜안이 빛을 발하고 있다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0배 이상으로 커져버린 것이다. 이런
부분
은 일정한 염기서열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부분
이 태반이므로 DNA가닥을 쪼개 염기서열을 분석하더라도 이게 어디에 들어가는지 퍼즐을 맞추기가 지극히 어렵다. 아직도 밀과 보리의 게놈을 완전히 해독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빵밀 유전자 수, 사람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