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뉴스
"
호
"(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세계 최초 큐브샛 쏜 대학생, 글로벌 군집위성 사업가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자체적으로 기획해 지난해 12월 띄워올린 독자위성 ‘그루스 1A
호
’라고 말했다. 그루스 1A
호
는 지상의 2.5m 떨어진 물체를 구분해 볼 수 있는 정밀도(해상도)를 지니고, 한 번에 60km 범위를 찍을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를 장착한 영상 위성이다. 코리아스페이스포럼/AZA 그는 “내년에 같은 위성을 3기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심우주로 유인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우주선 관리 시스템 외에도 생명과학연구소 등 연구 시설,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호
텔과 병원, 엔터테인먼트 시설 등이 있을 것”이라며 “결국 현재의 국제우주정거장(ISS)보다 훨씬 다각도로 활용 가능한 일종의 관광지역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달에서 ‘핵융합 에너지 원료’ 매장지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20일은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발을 디딘 지 50주년이 되는 날이다. 미국의 탐사선 아폴로 11
호
는 1969년 7월 16일 발사돼 사흘간의 비행 끝에 달 궤도에 도착했고 20일 우주인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 착륙했다. 50년이 지난 올해 세계 각국은 다시 달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이 올해 초 인류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아폴로 11
호
의 달 착륙은 태양계 탐사의 방아쇠였다”
2019.07.18
” 행성과학자인 제니 래드보 미국 브리검영대 교수는 1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
텔에서 열린 한국 최초의 본격 민간우주산업 포럼인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19’에서 달 착륙 50주년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래드보 교수는 달 착륙을 통해 6번의 유인 달 탐사가 이뤄질 수 있었으며, 달을 넘어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달은 인류의 우주 진출에 디딤돌 될 것”
2019.07.18
버나드 포잉 유럽우주국(ESA) 국제달탐사연구단 연구책임자는 1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
텔에서 열린 한국 최초의 본격 민간우주산업 포럼인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19’에서 인류가 달과 우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와 함께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잉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달착륙 실패? 더 큰 미래세대 꿈 심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갈 수 없어 지구궤도를 오래 돌다 달 궤도에 진입하는 경유편을 택했다. 그 결과 아폴로 11
호
가 3일만에 간 38만km 거리를 무려 650만km 경유해 두 달 이상 걸려 달 궤도에 도달했다. 착륙 순간에 대해 그는 “총 15분의 착륙 절차 가운데 약 10여 분까지는 모든 게 완벽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착륙을 1 ... ...
[특별기고]우주는 이미 삶 속으로 들어와 있다
2019.07.17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성장시킬 때가 왔다. 세계 각국이 우주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보
호
하고 미래 산업으로 급속히 발전시키고 있음을 잘 지켜봐야 한다. 정부, 연구기관, 민간기업이 협력해 한국의 우주개발 프로그램들을 더욱 성장시켜 미래전략 기술로 만들어 가야 할 때이다. ... ...
50년 전 오늘, 인류의 위대한 우주항해가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시험 프로젝트를 하며 비로소 두 나라의 우주 협력이 물꼬를 트게 됐다. 아폴로 11
호
가 발사된 역사적인 장소인 39A 발사대는 지금은 민간 우주개발의 상징이 되고 있다. 2013년 미국 정부가 재정 악화로 발사체 민간 임대를 추진했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개발기업 ... ...
中 우주정거장 ‘톈궁 2
호
’ 곧 폐기...한반도 추락 가능성은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있다고 보고 ‘경계’ 단계의 우주 위험 위기경보를 발령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톈궁 1
호
는 다행히 칠레 서쪽 남태평양 중앙부 해상에 추락해 별다른 피해는 낳지 않았다 ... ...
[제6회 과기장관회의] 잠자는 지역 연구시설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16일 개최된 제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3
호
안건은 지역에 흩어진 연구시설의 관리체계를 선진화할 방안을 다루고 있다. 복수의 연구 장비가 집적된 곳을 의미하는 '연구시설'은 부처를 가리지 않고 국가 재정이 투입된 경우가 많다. 과기정통부는 50억 원 이상 국비가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