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뉴스
"
해양
"(으)로 총 2,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동물의 의사소통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15.11.30
무인측정자료와 비교했더니, 바다표범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가 28% 가량 더 정확했다.
해양
동물 추적연구는 지난해에만 약 140건의 연구 성과가 발표되는 등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동물추적연구 분야에서 아직 걸음마 단계다. 철새추적연구도 AI가 아니었다면 하기 ... ...
지각이 땅속에 들어가면 말랑해진다?
2015.11.24
“
해양
지각은 힘에 의해 늘어나거나 변형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이는
해양
지각이 침강 과정에서 변형되기 힘들다는 기존 이론을 깨고 상부 맨틀에 의해 변형될 만큼 충분히 약하고 부드럽게 바뀐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
2억5000만 년 뒤 모든 대륙, 하나로 모인다
2015.11.20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판구조론’이 확립된 것이다. 판구조론은 대륙과
해양
지각이 10여 개의 판으로 쪼개져 있고, 이 판의 두께는 약 100㎞인데 강한 힘을 받으면 천천히 움직일 수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지금도 지구상의 대륙은 1년에 수 ㎝씩 움직이고 있다. 북아메리카 ... ...
‘깨끗한 수도관’ 내시경 보여주니… “믿고 마셔요” 1%→19%로
동아일보
l
2015.11.18
인한 환경 파괴도 줄일 수 있다. 아무 데나 버려진 페트병은 전 세계적으로 토양,
해양
을 오염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페트병 10개 중 2개는 소각되거나 땅에 매립되고 있다. 나머지 80%만 다른 제품의 원료로 재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유리병과 달리 페트병은 재사용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자원 ... ...
한국 정지궤도복합위성 이름은? ‘천리안’
2015.11.16
월 발사된 국내 첫 정지궤도복합위성으로 현재 3만6000km 상공에서 24시간 한반도의 기상과
해양
, 환경 등을 관측하고 있다. 천리안은 당시 대국민 공모를 거쳐 선정한 이름이다.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정지궤도복합위성 두 기는 그동안 특별한 이름이 없었다가 이번에 ‘천리안’이라는 이름을 ... ...
[특별기고/임두현]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 미적거릴 시간이 없다
동아일보
l
2015.11.12
관리 방안이 영구처분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동안 사용후핵연료 처분 방식으로
해양
처분, 우주 처분 등이 제시됐으며 이 중 현대의 기술로는 지하 약 500m 깊이의 심부 암반에 사용후핵연료를 영구히 격리하는 심지층 처분 방식이 가장 현실적이며 안전한 처분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유럽 ... ...
[신나는 공부]수험생 자녀 집중력·면역력…‘착한수산물’로↑
동아일보
l
2015.11.03
제도. 수산물 이력제의 가장 큰 장점은 식품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해양
수산부 유통정책과 담당사무관은 “수산물이력제는 수산식품을 먹은 뒤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소비자가 사고의 원인 및 사고발생 단계를 파악해 문제 상품에 대한 회수가 신속하게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다”고 ... ...
[신나는 공부]꿈을 만나다
동아일보
l
2015.11.03
병원의 응급실이나 응급환자 이송업체 등에 지원하거나 공무원 임용시험을 통해 소방서,
해양
경찰청 등에서 응급구조사로 활동할 수 있다. “소방공무원이 되고 싶다면 1급 응급구조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해요. 1급 응급구조사 자격증 소지자에 한해서 구급대원 특별채용시험을 볼 수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새우나 심지어 고래 같은 동물들도 치명상을 입게 된다. 파지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해양
생태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이다. 육지에서도 상황은 비슷해서 토양 1그램에 파지가 10억 개쯤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만일 파지가 없었다면 박테리아와 진핵생물 사이의 관계는 전혀 다른 국면에서 ...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29
만날 수 있었단다. 우리가 갈 수 없는 곳에서 멋진 활약을 펼치는 로봇도 만났어. 선박
해양
플랜트연구소가 개발한 ‘크랩스터’란다. 해저 200m까지 내려가 6개의 다리로 걷거나 헤엄치면서 로봇팔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지? 곧 해저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로봇도 개발될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