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798건 검색되었습니다.
탈북 의사들 "북한, 코로나 진단장비·시약없어...감염병 사망자, 과로사로 분류"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확산 위기에서 당국의 자력회복 방침과 맞물려 인민들을 질병의 위험에서 구조하는데
한계
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김영훈 고려대 의료원장이 ‘코로나19가 초래한 인류의 위기를 한반도의 기회로’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김 원장은 "남북 보건의료인은 코로나19와 같은 ... ...
노벨화학상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치료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
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크리스퍼-캐스9의
한계
를 극복할 유전자 교정 기술을 계속 연구해왔고, 지난해에는 ‘프라임 에디팅’이라는 새로운 유전자 가위 기술도 등장했다. ... ...
1, 2세대 징크핑거·탈렌 이어 3세대 크리스퍼 Cas9 유전자가위...가장 혁신적인 생명공학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비싼 데다 3세대 크리스퍼 Cas9 기술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고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3세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1세대 및 2세대 유전자가위와 달리 유도물질인 RNA가 절단효소인 Cas9과 붙어 DNA로 이끈다는 점이 다르다. 길잡이 역할을 하는 RNA만 교체하면 얼마든지 새로운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1cm 범위에서 1나노미터보다 작은 차이를 2만분의 1초 내에 측정할 수 있다. 기존 기술
한계
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은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올해 2월 10일자에 게재됐다. 김 교수가 개발한 센서 기술은 첨단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위한 초정밀 3차원 형성과 고속의 기계적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망원경이 크더라도 100km가 넘는 두께의 대기 아래에서 별을 관측해야 하기 때문에
한계
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는 기술인 '적응 광학'이 도입되면서 망원경은 공기의 난류를 보정하고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해주는 얇은 렌즈들을 추가로 갖게 됐다. 겐첼 소장과 게즈 교수는 30년 가까운 기간 동안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발견부터 정복까지 드라마틱한 C형 간염 극복기
2020.10.06
페그인터페론이라는 것도 사용했지만, 1년간 치료를 해도 환자의 완치율은 50% 수준으로
한계
가 분명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딱 맞는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할 수도 있었을 텐데, 왜 인터페론이라는 단백질만을 항바이러스제로 썼을까. 사실 C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의 가장 큰 난관은 ... ...
'강하고 전기 잘 통하는 입체 그래핀 제조'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있다. 하지만 소자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물성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실제 응용에
한계
가 많았다. 특히 평면 형태의 그래핀을 쌓아 입체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렇게 만든 대표적인 입체 구조인 그래파이트(흑연)는 늘어나는 힘에 약하고 전기를 전달하는 힘이 크게 떨어졌다. 연구팀은 이 ... ...
ESS 화재 오명 극복할 배터리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이상의 수명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김희탁 교수는 “차세대 수계 전지의 수명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한 게 이번 연구의 의미”라며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ESS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검출 감도 10억 배 높인 마이크로파 검출기 개발...양자 기술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연구원과 이길호 교수다. 삼성전자 제공 마이크로파를 이론상 검출 가능한 가장 작은
한계
인 1아토와트(aW. 1aW는 100경 분의 1W)까지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검출 기술이 개발됐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양자컴퓨터와 양자정보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회전의 마법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3
정교한 반응기와 미세관을 제작하거나 다룰 때 고도의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는 태생적인
한계
가 있었다. 이런 복잡한 장치 없이 화합물을 쉽게 자동으로 합성하는 방법은 없을까.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그룹리더(UNIST 특훈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밀도가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