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4,013건 검색되었습니다.
[부고] 한국 동물생명공학 선구자 한인규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한국의 동물생명공학을 세계적 지위로 끌어올린
학자
이자 끊임없는 기부를 통해 후학 양성에도 힘쓴 한인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이달 1일 오후 3시 별세했다. 향년 85세. 고인은 1934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났다. 1956년 서울대 축산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미국 ... ...
"미토콘드리아DNA로 인류 기원 알기 어려워" 남아프리카 기원설 무너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동안 이 지역에 인구 변화가 많았던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집단유전
학자
인 폰투스 스코글룬트 영국 프랜시스크릭 연구소 교수도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인류는 최근 수 년 동안 매우 많이 이주하고 섞여왔기 때문에, 20만~7만 년 전 사이에 인류가 이동하지 않았다는 ... ...
"전 세계 돼지 4분의 1,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사라질 것" OIE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백신 개발에는 시간이 걸린다는 게 과학계의 판단이다. 시프 회장은 “전 세계 수의
학자
들이 질병에 대한 백신을 찾으려 하나 바이러스의 본질 때문에 이는 ‘복잡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모니크 엘로이 OIE 사무총장도 경고에 나섰다. 엘로이 사무총장은 29일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케플러》(박영준 옮김), 바다출판사 ※필자소개 이종필 입자이론 물리
학자
. 건국대 상허교양대학에서 교양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신의 입자를 찾아서》,《대통령을 위한 과학에세이》《물리학 클래식》《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아주 특별한 상대성이론 강의》《사이언스 ... ...
매머드·검치호도 공룡처럼 소행성 충돌로 멸종 맞아
연합뉴스
l
2019.10.31
점차 더 힘을 받는 상황이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USC)에 따르면 이 대학 고고
학자
크리스토퍼 무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엘진 인근 화이트폰드의 호수 침전물에서 천체 충돌설을 뒷받침하는 추가적 증거를 찾아내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를 ... ...
속속 완공되는 암흑물질·암흑에너지 관측장비..2020년 초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현재도 보이지는 않지만 은하 주변을 거대한 암흑물질이 둘러싸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
도 많다. 알프스2는 120m 길이의 텅 빈 공간을 두 개 만들고 양 끝 벽에 12개씩 초전도 자석을 설치했다. 치 초전도 자석은 이 연구소에 원래 존재했던 과거의 독일 가속기를 재활용한 것이다. 그 뒤 내부에 ... ...
우주에서 핼러윈 기념? 지구 응시하는 유령 얼굴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두 개의 은하가 상호작용하며 독특한 구조를 형성하는 천체에 이름 붙는다. 미국 천문
학자
할튼 아르프와 배리 마도르가 이를 정리했다. 아르프가 1966년 독특한 구조를 형성하는 은하계 338개를 발표했다. 이어 마도르와 협업을 통해 1987년 수천 개의 은하 목록을 만들었다. 천문학계는 핼러윈을 ... ...
기원전 660년 이라크에 '오로라'… 세계 최고 기록 확인
연합뉴스
l
2019.10.29
덮었다' 등 오로라로 보이는 현상을 기록한 곳이 3곳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점성
학자
등이 활동한 시대로 보아 기원전 680~650년 께의 현상으로 분석됐다. 오로라는 보통 북극이나 남극 등 고위도 지역에서 관측되며 태양활동과 관계가 있다. 지금까지의 연륜 등의 연구에서 기원전 660년 전후에 ... ...
"첫 현생인류는 20만년 전 남아프리카人…지구 자전축 변화 따른 기후변화로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심지어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인류가 탄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유전
학자
들이 세포 내 DNA에 쌓인 DNA 변이 정도를 측정해 종의 탄생 연대를 추정하는 ‘유전자 시계’ 기술로 현생인류의 탄생 시점과 지역을 찾은 결과도 비슷했다. 1987년 레베카 칸 미국 하와이대 교수팀이 어머니에게서만 ... ...
삼성도 반했다, 계산 속도 빠르고 소비전력 낮은 ‘다진법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박진홍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이런 다진법 반도체를 개척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자
다. 박 교수는 “컴퓨터 내부의 중앙처리장치(CPU)를 보면 정보 저장과 연산을 담당하는 부분이 각각 있는데 현재는 모두 2진법 체계로 저장하고 처리된다”며 “패러다임을 바꿔 이들을 부분적으로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