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계속
존속
보전
지탱
보수
영속
뉴스
"
지속
"(으)로 총 7,559건 검색되었습니다.
극저온 실리콘 금속에서 새 양자 물질 발견…양자컴 소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측정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있어 선행 연구가 극히 적었지만 연구팀은 2015년부터 연구를
지속
했다. 임 교수는 "일본 전자제품 기업인 NEC와 이화학연구소(RIKEN)에서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던 당시 실리콘 위에서 성장된 알루미늄 등 다른 물질을 연구하던 중 엉뚱한 실험 결과가 나와 원인을 찾다가 ... ...
백신·모니터링·모델링...코로나19가 남긴 과학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기초연구에 대한
지속
적인 투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종 감염병 사태와 관련해서 예측 모델링 연구의 중요성도 제기된다. 사이먼 코세메즈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연구원은 2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한 칼럼을 통해 ... ...
"SMR 개발에 76억원…원자력 신규사업에 20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지원사업과 그간 확보한 기초·원천 연구 성과를 활용하는 목적지향형 기술개발을
지속
추진한다. 또 의료·산업용 동위원소 상용화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 사업을 시작한다. 연구기반 구축 분야에서는 원자력 연구개발 혁신동력 확보를 위해 연구기반 강화를 중점 지원한다. 신진연구자를 ... ...
'유전자교정 아기' 논란 中 과학자, 황우석 전철 밟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허젠쿠이 전 중국 남방과학기술대 교수. 국립과학원 제공 2018년 세계 최초로 유전자교정 아기를 만들어 중국서 징역 3년형을 받은 허젠쿠이 전 중국남방과학기술대 교수가 지난해 ... 파면됐지만 현재 돼지 복제와 반려동물·가축 복제 상업 벤처 기업에서 과학적 연구를
지속
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속 마그마의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2015년 이전보다 120배 증가한 것이다. HVO는 지난 1960년대 확인된 ‘파할라 군집’을
지속
적인 지진 발생 원인으로 지목했다. 파할라 군집은 깊은 융기 마그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파할라 군집을 두 개의 수직 클러스터로 재배치했다. 분석 결과 깊이 45~51km의 하부 클러스터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생각해볼 기회를 가졌던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이후 관계가 얼마나
지속
될 것인지를 훨씬 더 잘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다(정확성 67% VS. 19%). 마음은 답을 알고 있다는 말처럼, 잠깐 열정을 뒤로 하고 ‘지금 나는 이 관계에서 행복한가?’라고 한 번 물어보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그 답에 ... ...
백신 접종 후 코로나 감염되면 면역력 최소 8개월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면역'이 형성된 사람은 감염을 막아주는 '점막 항체'가 형성돼 면역력이 8개월 이상
지속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일(현지시간) 네이처는 백신 접종 후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을 대상으로 항체형성률을 조사한 일련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백신도 맞고 코로나19에도 감염된 하이브리드 면역을 가진 ... ...
조류독감, 포유류 감염 최소 200건...확산 우려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최근 보고서에서 영국보건안보국(UKHSA)은 "포유류에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변이가
지속
적으로 발견되면 동물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며 "죽거나 아픈 새를 만지지 말고 맹금류, 야생 물새, 갈매기 등 죽은 새 5마리 이상을 발견하면 환경식품농촌부에 신고하라"고 ... ...
"초저출산으로 30년 뒤 이공계 석박사생 반토막"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이후에는 합계출산율이 1 이하로 떨어졌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력인구 감소추세가
지속
될 경우 2050년 무렵에는 이공계 석‧박사과정생 수가 현재의 절반 이하 규모로 쪼그라들 전망이다. 이공계 석사과정생은 현재 4만5000명 정도인데 2050년에는 2만2000명~2만7000명 규모로 줄어들 ... ...
"박사 학위 받아도 갈 곳 없어"…청년 과학자들 현실 토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3
입학할 때 유망 분야라고 해 선택했는데 금세 유행이 바뀌는 경우에 하나의 연구를
지속
해 온 연구자들은 갈곳을 잃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그는 "국가나 기업에서 지원하는 주제를 바꾸지 말고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다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