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위"(으)로 총 2,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10.05
-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생물학과 교수팀은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습관 형성의 지휘자 역할을 하는 뉴런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레버를 누르면 설탕을 제공해, 쥐가 습관적으로 레버를 누르게 한 뒤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습관이 형성된 ... ...
-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10.02
- 따라 모듈을 끊거나 이으면서, 하나로 합치거나 두 개로 분리하는 등 스스로 고장 난 부위를 수리했다. 연구팀은 사람이 들어가기에 좁거나 위험한 환경에 이 로봇을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oi:10.1038/s41467-017-00109- ... ...
- 귀성길 귀경길 교통 체증 때 졸린 이유 밝혀졌다동아사이언스 l2017.10.02
- 중국 푸단(復旦)대 약리학부 국제공동연구팀은 지루할 때 졸린 것은 뇌 부위 중 하나인 측위신경핵의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이라는 연구를 과학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지난달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빛으로 신경 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실험용 쥐를 만들었다. 특별히 ... ...
- 올들어 벌써 17번, 北 미사일 도발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10.01
- 2배 더 높다.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 현안연구실 연구위원은 “고각 발사를 하면 탄두 부위의 온도가 섭씨 4000도 안팎인 반면, 정상각으로 발사하면 최대 8000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말했다. 미사일의 온도 제어 기술이 완벽하지 않을 경우 폭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국내 대학의 한 미사일 ... ...
- 상처나 찢어진 피부, 빛으로 붙인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8
- - 포항공과대학교 제공 일반적으로 외과수술 후에는 실이나 스테이플링을 이용해 상처부위를 꿰매거나, 피부접착체를 사용해 상처를 붙이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복합물질을 이용하면 피부 깊은 조직에서 직접 콜라겐이 결합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기존 방법보다 더 빠르게 피부가 붙는다. 또 ... ...
- [사이언스 팩트체크] 주변에 동성애자 있으면 동성애자 늘어날까?동아사이언스 l2017.09.25
- 불리는 부위들의 크기를 비교했다. 그 결과 다른 부위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INAH3이라는 부위는 이성애자가 동성애자 남성보다 두 배 이상 컸다. 하지만 2001년 윌리엄 바인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교수팀이 ‘호르몬과 행동’ 지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보면, 이성애자 남성의 INAH3가 동성애자보다 ... ...
- 생존율 10%미만 ‘두경부암’ 새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7.09.22
- 치료 효과 높이고 내성 문제 해결 두경부암은 후두암, 구강암, 인두암 등 머리와 목 부위에 생기는 암을 말한다. 복잡한 신경이 얽혀 있어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신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치료 효과가 떨어져 5년 생존율 10% 미만의 난치성 암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 ...
- [사이언스Q&A] 가을되니 유독 더 배고파지는 이유는?동아사이언스 l2017.09.22
- 식욕에 속지 않을 수 있다. 잠을 푹 자는 것도 좋다. 잠이 부족하면 식욕을 자극하는 뇌 부위인 ‘우측 전대상 피질’이 활성화돼 정상적인 수면을 취했을 때보다 배고파진다. 일상에서 따뜻한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 식욕 조절에 도움이 된다. 예컨대 수영을 찬물(20도)과 따뜻한 물(30도)에서 ... ...
- 산 오징어 먹는 남자, 서구 누리꾼 경악팝뉴스 l2017.09.19
- 제공 오징어가 그릇에 놓여 있다. 살아 움직이는 오징어다. 꿈틀댄다. 다리 부위가 통으로 담겼다. 흐뭇한 표정의 한 남자가 오징어에 간장으로 보이는 소스를 뿌린다. 그리고 움직이는 오징어를 조심스럽게 젓가락으로 든다. 꿈틀대는 오징어가 향한 곳은 남자의 입이었다. 남자는 이 오징어를 씹어 ... ...
- 외국어 마스터의 비결, 새는 알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9
- 변화를 유도하는 것. 그게 학습이다. 달팽이처럼 단순한 동물은, 한쪽을 계속 찌르면 그 부위를 움츠린다. 아주 단순한 학습이다. 명금류는 더 복잡하다. 하지만 둘 다 행동을 바꿨다. Q. 어려운 질문 두 번째다. ‘사회성’은 무엇일까. 사람이나 명금류나 둘 다, 발성학습을 할 때 사회 관계가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