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정도가 달라져 운동량을 계산할 때 오차가 생길 수 있거든요. 입자의 경로를 알아내는 데 필요한 만큼만 상호작용을 하도록 검출기를 만들어야 해요.최근에 CERN에 설치된 검출기에는 50~300μm* 두께로 매우 얇게 만든 실리콘 센서가 겹겹이 쌓여 있어요. 이 센서들은 바둑판처럼 작은 칸들로 나뉘어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입자들의 결합이 끊어지면 액체나 기체가 되는데, 배열이 일정하면 결합을 끊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일정해요. 그 결과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일정하지요.그런데 껌, 플라스틱, 유리 등 비결정성 고체는 입자들의 배열이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입자 사이의 거리나 결합하는 강도가 일정하지 않아요. ... ...
- [특집] 인공지능, 악플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63.3%가 “댓글을 올리기 전과 후에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고, 27.1%는 “스스로 악플을 달지 않도록 노력해야한다”고 답했지요. 여러 포털사이트들은 악성 댓글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어요. 2018년 네이버가 개발한 인공지능 클린봇은 욕설뿐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같은 좁은 의미의 과학으로 보기보다, 어떤 대상을 합리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라고 볼 필요가 있어요. 데이터를 모아 가설을 세우고, 근거에 따라 주장하는 거죠. 만약 그 근거가 잘못됐다면 내가 틀렸다는 반대 주장에 대해서도 열려 있는 태도로 임해야 마땅하겠지요.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과학과 ... ...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교육학과 교수) 굿 커뮤니티 캠페인을 잘 이끌어 주세요! Q 디지털 리터러시는 왜 필요한가요?디지털 리터러시란 정보를 탐색해 활용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뿐 아니라 디지털 세상에서의 예의, 윤리의식 등 기본 소양을 갖추는 것을 말하죠. 즉, 디지털 세상의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아이디가 해킹 당해 정지된 적이 있다고? 이젠 걱정하지 마. 과학자들이 해커를 막기 위해 24시간 디지털 활동을 감시하는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거든. 또, 해커들이 감히 넘볼 ... 시대에는 보안이 점점 중요하다”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양자암호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뉴스] 떫은맛 감지하는 인공 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누를 때 느껴져요. 이처럼 떫은맛은 혀에서 감지하는 원리가 달라 새로운 인공 혀 기술이 필요했어요. 연구팀은 떫은맛을 느끼는 원리를 모방하기 위해 미세한 구멍이 많은 고분자 젤을 재료로 사용했어요. 고분자 젤에는 혀의 점막 단백질 역할을 하는 뮤신과 염화리튬이온이 들어있어요. 뮤신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드로잉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않도록 했어요. 섭섭박사님은 “접착제가 스며 나와 톱니바퀴 등에 묻지 않도록 필요한 곳에만 얇게 바르는 게 핵심”이라며 제작 꿀팁을 전했답니다. 알아보자!드로잉머신의 역사는 600년 전부터? 오래 전부터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그림을 그리는 수고를 덜기 위해 자동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학생, 수학 점수를 좀 더 올리고 싶은 학생 모두에게 필요한 수학 학습의 ‘꿀팁’을 연재합니다.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요! 저는 방학이 시작되면 일과표를 만드느라 하루를 다 써버리기도 했습니다. 하루를 30분 단위로 쪼갠 동그란 원 안에 적힌 것이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높이가 10m나 되는 KSTAR의 규모에 입이 떡 벌어졌다고 합니다. 핵융합 상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첨단 기술도 조사했습니다. 슈퍼컴퓨터,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등을 취재했는데, 핵융합 에너지와 크게 관계없어 보이는 기술들이 모두 융합돼 핵융합 발전을 완성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유두호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