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kids.dongascience.com)의 ‘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당첨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11월 1일 어과수 홈페이지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두 개의 밝은 별이 마치 올빼미의 눈처럼 보이지 않나요? ... ...
- [특집] 달 얼음 깨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힘듭니다. 따라서 달 얼음을 캘 때 채굴하는 로버의 충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번 챌린지에서 1등을 한 팀은 로버 두 대를 한 조로, 충전과 채굴 역할을 구분해 실행하는 시스템입니다. 로봇 청소기를 연상시키게 하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네요 ... ...
- [4컷 만화] 문어, 화나면 진흙 던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문어의 던지기 행동에 사회적 의미가 있다는 거지요. 연구팀은 “인간이 아닌 동물 중에서 다른 개체에게 물건을 던지는 동물은 드물다”며, 이 행동이 문어의 높은 지능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예라고 설명했지요. ● 수관 : 문어가 아가미를 거친 물이나 먹물을 내뿜는 기관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인석 교수는 “현재 5000개 이상의 똥을 새로 분석해 유전체 지도를 확장하는 중”이라며 “한국인의 장 속에만 사는 독특한 미생물을 찾고, 건강 상태에 따라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다른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장내 미생물 삽니다, 전문은행!8월 2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북 순창에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하나는 한 가닥?DNA VS RNA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들어가 있죠.RNA의 다른 특징은 가닥이 두 개가 아니라 한 개라는 점입니다. DNA처럼 이중나선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들이 바깥에 노출되어 있어요. 그래서 DNA보다 수명이 짧아요.RNA는 DNA의 심부름꾼 분자로 다양한 일을 합니다. RNA는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에서 단백질을 만들도록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집필하였다. 사람들이 디지털 나라 여행 중 미로에 빠지지 않도록 길잡이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우수 미션 참가자를 소개합니다!•정유나(신*초) 디지털 협업의 사례와 제가 꿈꾸는 디지털 협업을 소개 합니다!제가 경험하고 보았던 가장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나는야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 하루 중 가장 즐거운 식사 시간이 되어 맛있는 치킨과 채소, 과일을 준비했어. 그리고 나는 채소부터 냠냠 먹었지…. 기획 / 특집 中… 이번 연 ... 했어요. 이런 문제들은 앞으로 달 탐사에 나설 과학자들이 해결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랍니다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수의과대학생과의 첫 멘토링, 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많이 됐지만, 지금은 전국에서 활약하는 친구들이 있단다. 전라도는 총 39개 동물원 중 18개 동물원이 조사됐어! 이달의 기록 - 대학생 멘토수의과대학생 언니, 형들도 동물 복지 조사에 나서고 있어. 심화 교육을 바탕으로 동물들의 건강까지 살피고 있지! 김주현 대원(전남대학교)광주 모 ... ...
- [기상 인터뷰] 이런 머리로 날 수 있었을까? 큰머리 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번 연구에 쓰인 익룡 화석도 여기서 발견된 거야. 지금까지 발견된 투판닥틸루스 화석 중 가장 보존 상태가 좋았지. 새롭게 밝혀진 연구 결과가 궁금해!화석으로 발견된 투판닥틸루스 나비간스의 날개 길이는 약 2.7m고, 키는 약 1m였어. 볏의 길이는 무려 40cm로 키의 40%를 차지하고, 머리보다 5배나 ...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신기하네요! 가장 인상 깊었던 바이오해킹 연구는 무엇인가요?타이레놀을 이용해 식수가 중금속에 오염됐는지를 측정하거나, 대장균으로 진주를 만들려는 시도가 기억에 남습니다.올해는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된 개구리를 구하기 위해 항아리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유전 회로를 만들고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