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지배방정식인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은 해의 존재성은 알려져 있으나, 초음속 비행기
주위
의 공기 흐름을 표현한 오일러 방정식은 아직 해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상태다.해가 존재하더라도 문제는 또 있다. 같은 자료에 대해 또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다. 이를 가리켜 ‘해의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1996년에 나타났던 햐쿠다케 혜성은 북극성
주위
를 지나갔다. 그래서 햐쿠다케 혜성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려면 자연스럽게 북극성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그 ... 돌아간 B다. 문제(4)의 정답은 물론 A가 된다. 즉 북두칠성은 지난 1년, 3백65일 동안 북극성
주위
를 3백66바퀴 회전한 것이다 ... ...
제14회 국제청소년물리학자토너먼트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독일, 그리고 호주팀이 진출했다. 호주팀은 모두 여학생으로 구성돼 있어 대회 초반부터
주위
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독일은 막강한 수학실력과 차분한 발표로 다른 참가국을 압도했다. 슬로바키아는 예선전 초반에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후반에서 점수가 급상승하면서 다른 팀을 긴장시켰다. 최종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전해진다.오름은 기생화산을 뜻하는 제주방언이다. 기생화산은 한라산을 형성한 큰 화산
주위
에 생겨난 작은 화산체다. 그런데 오름은 왜 이다지도 많은 것일까. 이것은 한번의 큰 화산폭발이 아닌 크고 작은 규모의 것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암석의 연대측정을 통해서 실제로 ... ...
마라톤의 달콤한 중독 러너스 하이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여기에서 명확하게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운동 하이는 달릴 때
주위
환경도 중요하다.
주위
환경이 쾌적한 곳에서 달려야, 달리는 사람의 체내에서 생물학적 반응이 제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운동 하이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운동 하이가 나타나는 운동 시점이나 거리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 이 ... ...
눈앞에서 사라지는 색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다른 하나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그림에서 ②)이다. 즉, 필름통은 가로축의
주위
를 회전하는 동시에 그 축과 함께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한다.이같은 두가지 회전운동이 합하면, 손가락으로 튀긴 쪽과 반대쪽은 서로 다른 운동을 한다. 즉 손가락을 튀긴 쪽은 두 회전운동의 방향이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없다.마지막으로 저장링에서 전자가 내는 빛을 뽑아서 실제 실험에 이용하려면 저장링
주위
로 빔라인이 배치돼야 한다. 가속기를 이용한 실제적인 실험은 여기에서 행해진다.하지만 아직 소개되지 않은 중요 장치가 있다. 진공장치다. 빛의 속도로 가속된 전자가 지나가는 곳은 필수적으로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화성을 100% 만끽할 수 있는 적합한 시기를 맞았다.화성이 6월 22일 13년만에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다.한밤중 남쪽하늘 전갈자리 근처에서 붉은 행성 화성을 ... 0배 이상 가깝다. 천문학자들은 두 위성이 본래 소행성이었으나 화성의 인력에 이끌려
주위
를 공전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낮춘다면 영하에서도 수분은 증발되고 만다.만약 수분을 함유한 재료를 냉동시킨 다음
주위
압력을 낮춘다면 어떻게 될까. 쉽게 수분이 건조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커피와 의약품의 냉동건조법이다. 열에 의한 건조로 인해 날아가 버릴 커피의 향이나 약의 성분이 냉동건조법에서는 그대로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것이라도 크기가 매우 크다는 점에 더욱 흥분했다. 더욱이 생물의 오아시스는 분출구
주위
약 50m 내외의 믿을 수 없을 만큼 제한된 지역이었다.개체크기가 크거나 개체수가 많이 분포돼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심해지역에 적응할 수 있는 포식자의 개체수가 적다. 날렵하게 도망다닐 수 있도록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