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연상하는 과정이라는 현재의 생각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1970년대 중반까지 계속된 이 잘못된 생각은 '본다'와 '이해한다'를 구별하여 전자를 수동적인 과정, 후자를 능동적인 과정으로 한 칸트의 2차론과 유사하다.이들은 그 증거로 망막이 뇌의 특정영역과 강하게 결합돼 있는 점을 강조했다. 이 ... ...
- "공룡은 지구 전역에 퍼져 살지 않았다"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갖게 된다. 그러나 오타와에 있는 캐나다 자연사 박물관의 데일 러셀은 이같은 믿음이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약 2억년 전인 쥐라기 초기 이후 지구 전역에 퍼진 공룡 식생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러셀과 미국 지질연구소에서 일하는 그의 동료 토마스 홀츠에 따르면 뿔달린 공룡이나 ... ...
-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역암, 암맥 A,B만 보면 암맥 B는 사암층이 쌓인 후 분출하고 역암층이 그 위에 쌓인 것으로 잘못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층 B와 암맥 B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위와 같은 확실한 결론을 얻은 것이다.따라서 지층을 해석할 때에는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지층을 올바르게 해석할 수 ... ...
-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송신한 전파를 수신해 이를 지연시킨 후 재방사하게 되면 레이더는 전투기 위치를 잘못 판단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항공기나 함정은 레이더의 추적을 받을 경우 채프(레이더 탐지 방해용의 금속편)를 살포한다. 이는 채프가 분산되면서 레이더파를 반사시키므로 레이더나 유도탄탐지기에서는 강한 ... ...
-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설명이 불가능한 갑작스런 아이의 죽음' 유아돌연사. 사후 부검을 해도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던 이 증후군이 잠잘 때의 자세와 관계가 깊다는 보고가 나왔다.얼굴을 ... 책임을 져야 한다"며 "작은 모집단의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과를 전체에 추정해 적용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초전도현상을 일으킨다는 쿠퍼의 페어이론이 초전도연구자들을 지배해 왔는데 이것이 잘못됐다는 점을 우선 지적하고 싶습니다."-쿠퍼는 이 이론으로 72년에 노벨상까지 타지 않았습니까."그렇지요 하지만 전자가 쌍을 이루면 자화율이 0이 되어야 하는데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상황에서는 ... ...
- 너무 많이 아는 것?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넘쳐나거나, 정보가 저장되고 검색하는데 있어 절대 안전하다고 여겨진 방식에서도 잘못이 생기는, 문명에서 일어남직한 사건에 관하여 우울하거나 우스운 이야기를 써 왔다. 지금도 우리는 매우 자주 정보를 활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컴퓨터가 다운되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날이 갈수록 ...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9호
- 호령하는 자세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라박사는 한원의 일본 번역판에서는 이를 잘못된 표기라고 표시해놓은 것도 확인했다. 요즘 많이 읽히는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와 같은 종류의 책을 자연과학자의 입장에서 한번 써보겠다는 것이 그의 조그만 소망이다 ...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있는 것이 아니고 문제는 그보다 더 근원적인, 즉 우리가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데서 온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 것이다.여기에서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이 빛을 발한다. 그의 직관은 맞았다. 이들 상호모순은 우리가 시간과 공간의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면 모두 사라지는 것이다. ... ...
- 개항 한세기─시대별로 본 한반도의 대표적 귀화식물들과학동아 l1993년 08호
- 5백년'의 전반부나 '삼국기' 등에 개망초가 하얗게 피어 있는 장면이 나오는 것은 잘못이 아닐 수 없다. 이 망초와 개망초를 혼동하고 있는 사람이 더러 있는데, 흰 꽃잎 같은 혀꽃부리가 잘 보이는 것이 개망초이고, 꽃잎이 없어 보이는 것이 망초다.시골의 돌 많은 시냇가나 길가 등에는 마치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