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특이점은 왜 생기는 걸까. 이기암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편미분방정식의 해는
자연
현상을 단순화한 모델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어떤 물체의 운동을 확대하면서 분석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계속 키우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는 양자세계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사진작가에게는 날씨가 왕이다. 날씨를 믿고 따르면 상상한 것 이상의 마법 같은 사진을
자연
이 선물할 것이다. 그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제 시간에 그 장소에 도착해야 된다. 그것은 오직 당신의 행운에 달렸다.”누군가는 그의 풍경 사진을 보고 ‘비현실적’이라고 말한다. 나쁜 의미가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돌게 한다는 생각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시대가 돼서야 등장했다. 고대 그리스에서
자연
철학이 등장한 지 2000년이 지난 뒤였다.중력과 달리 전자기력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져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철학의 아버지’라 부른 탈레스도 양털에 문지른 호박이 머리카락처럼 가벼운 물체를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믿음직한 소프트웨어가 만드는 안전한 세상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한 ‘정형기법’이 적용돼 있어 소프트웨어의 에러를 없앨 수 있다. 정형기법은
자연
어로 만들어진 코딩을 수학적인 기호로 바꿔 완전성·정확성·일관성을 증명하고 검증하는 방법이다. 이를테면 ‘○○구간에서 열차 간격이 ○○km를 넘는다’가 ‘예’일 때 ‘속도를 높인다’로 가고,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아니다. 그런데 왜 기준을 바꾸려는 걸까.“우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온도를 물이라는
자연
물의 성질을 이용해 정의한다는 점에 만족하지 못하는 거죠. 물이 동위원소 비율에 따라 미묘하게 기준이 달라진다는 것도 문제고요.”한국표준과학연구원 온도센터의 양인석 책임연구원은 온도의 기준을 ... ...
[Knowledge] 금속 유물에 숨결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것은 귀금속으로 분류되는 금과 은, 일부 청동 정도”라며 “나머지 금속은 모두 안정된
자연
상태(산화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출토된 금속 유물을 보다 잘 보존할 방법은 없을까요. 다행히 부식을 최대한 늦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철의 경우, 부식을 가속화시키는 염소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임명됐다. 그 뒤로 가우디는 43년간 모든 재능을 이 성당에 쏟아 부었다. 가우디는
자연
을 관찰해 얻은 아이디어를 기초로, 성당을 설계했다. 60세가 되었을 때는 오로지 이 성당의 건설과 미래에 건설해야 할 부분의 계획을 위해 남은 일생을 바칠 결심을 했다. 그 뒤로 14년 동안 성당의 파사드 부분을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주요 수)를 직역한 것이다. 모든
자연
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소수는
자연
수를 구성하는 주요 수라는 뜻이다. 박 교수는 “수학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건 언어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그 용어가 만들어진 이론적·역사적 배경을 몰라서”라고 말했다. 일상어 때문에 더 헷갈려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자운영은 처음에는 관상용으로 들어왔지만, 야생에 흘러나간 몇 포기가 우리나라
자연
에 성공적으로 적응했어요. 달맞이꽃은 남아메리카 칠레에서 들어온 종으로, 낮에는 꽃 봉우리 상태로 있다가 밤에 화려한 노란 꽃을 피우지요.귀화식물은 적응 중현재 우리나라에 들어온 귀화식물은 300종이 ...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수학은
자연
속에 이미 숨겨져 있는 법칙을 발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수학에는 본질적으로 발명이란 없다. 여기에 단 한가지 예외가 있으니, 바로 미적분학이다. 17세기 두 천재가 발명한 미적분학을 통해 인류는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고 현대의 다양한 사회현상까지 상세히 해석하고 예측해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