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제시된 최종 미션만 해결하면 됩니다. 정답자가 나오는 대로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니, 자리를 뜨지 마시고 별별 수 HOT3을 만나 보시기 바랍니다.수학자들은 수를 아름다운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표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다양한 수들이 각양각색의 모양으로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야외에서 먹이 숨기는 모습을 뻔히 관찰하던 필자가 곧바로 달려갔는데도, 숨긴 자리를 찾지 못하고 포기한 게 한두 번이 아니었다. 사람도 찾지 못하는데 과연 까치가 기억하고 찾을 수 있을까.놀랍게도, 까치는 자기가 먹이를 숨겨둔 장소를 정확하게 기억한다. 한번은 기르던 까치에게 알루미늄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2이지만, 1월은 13, 2월은 14가 된다. 네 자리 수인 연도에서 앞의 두 자리는 YA, 뒤의 두 자리는 YB가 된다. 2014년이라면 YA=20, YB=14다. 단, M에서 1월과 2월은 13과 14로 정했기 때문에, 이 경우 이전 해의 연도를 입력해야 한다. 이렇게 계산된 H값이 0이면 토요일, 1이면 일요일,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살짝 당기면 그 방향으로 움직인다. 양쪽을 동시에 당기면 그 자리에 멈추라는 신호다. 허벅지에 힘을 줘서 조이면 속도를 높이고, 힘을 빼면 다시 천천히 간다.말이 쉽지, 균형 잡는 것만으로도 정신이 없는데 조종까지 능숙하게 하려면 한세월이다. 승마도 자동차 운전연습의 ...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11월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부지는 과거 조선시대 규장각이 있던 자리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 주는 가교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개관을 기념하는 첫 전시는 바로 !이 전시가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서 수학동아 독자기자들이 찾아가 봤다. 전시를 직접 기획하고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곱셈과 나눗셈처럼 항상 짝지어 다닌다고.1640년 0과 무한은 찰떡궁합?서양에서도 0이 자리를 잡아갈 무렵, 0과 무한이 만나 새로운 연구의 싹이 트게 된다. 사실 0과 무한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관계를 갖고 있다.예를 들어 어떤 수를 $x$로 나눠 보자. 이때 $x$가 0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그 몫은 ...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이밖에도 대형마트에서 원하는 물건이 어디 있는지, 어떤 특별세일을 하고 있는지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안전운전에도 도움이 된다. 밤길에 운전을 하는데 앞차가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눈앞이 아찔해진다. 이럴 때 LED통신기술이 차에 달려있다면 위험한 상황을 피할 수 있다. 강 실장은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밤과 숲의 향기 속에서 수학 이야기를 끝없이 나눈다.상주하는 교수가 없기 때문에 자리를 지키는 사람은 비서 몇몇뿐이다. 입구 옆 사무실에는 방문객 담당관 아네테 디시 여사가 근무한다. 그녀는 이 마을에서 태어난 일생 동안 이 곳을 떠나 본 적이 없다. 그녀의 아들은 자동차수리공인데, ...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피곤에 지쳐 잠에 빠져들었다.“윤소마! 일어나!”깜짝 놀라 눈을 떠 보니 소마의 앞자리에 호랑이 인형이 앉아 있었다.“헉! 당신은 또 누구시죠?”“이제 드디어 마지막 미션이야. 자, 이 봉투를 꺼내 보게.”봉투를 열자 이번에는 동물 단어와 숫자로 이뤄져 있는 3개의 식이 나타났다.“자, 이 세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머무를 수 있는 지점이다. 우주정거장 등을 세우기에 이상적이다. 창어2호가 바로 그 자리에 서 있는 실험을 해 보았다. 그 후 가까운 소행성으로 접근해 관측을 하고 임무를 마쳤다.창어2호와 3호의 성공에는 중국 발사체 ‘창정’의 공이 크다. 창정은 대장정이라는 이름 뜻에 걸맞게 1970년부터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