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녹색 등 다양한 빛깔을 만들어내는 발광층은 색순도가 우수하고 선명한 빛을 내야 한다.
외부
의 양극과 음극에서 전기를 걸었을 때 정공을 전달하는 투명한 양극, 전자를 전달하는 음극은 이제까지 무기물이 주로 사용돼왔다. 그러나 최근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PEDOT, PANI 등과 같은 유기물을 통해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한다. 또 홍채는 그 내부의 신경과 혈관 조직을
외부
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최근 일부 한의학 분야에서는 홍채의 이같은 특성을 이용해 신체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기도 한다. 특히 혈관과 관계 있는 질병은 홍채의 혈관에 나타나는 변화를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정상 유전자 사이에 끼이면 이 유전자 앞뒤로 CpG를 붙여 메틸화를 시킨다. 그러면
외부
유전자는 작동하지 않고 영원히 침묵을 지키는 것이다.실제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 인간게놈에는 CpG가 밀집돼 있는 부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유전자의 50-60%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하나의 CpG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가능하다. 유기물은 크기가 수nm에 해당하는 분자로 이뤄져 있다. 이 분자들은
외부
에서 일일이 지정해주지 않아도 스스로 조립해 물질을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자기조립(self-assembly) 능력을 활용하면 나노기술의 혁신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물은 전자공학이 나노세계로 들어가는데 큰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번질 위험성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 수명이 30년 정도로 비교적 짧아 관리만 철저히 하면
외부
로 나갈 염려가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도 상용화까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현재 각국의 대학이나 기업이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고 최근 흥미로운 결과들이 하나 둘 나오고 있다. 수은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레이더에 사용되는 진공관이 대량생산되기 시작했다. 또
외부
에서 진공장비 안으로 기체 분자가 얼마나 들어갔는지를 헬륨을 이용해 측정하는 장비도 개발됐다.1960년대 미국과 옛소련은 우주개발 분야에서 경쟁하기 위해 기초과학에 엄청난 투자를 했다. 그 결과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따라서 정자가 이런 죽음으로부터 피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정자가 만들어지는 정소를
외부
로 끌어내 온도를 낮춰주는 방식이었을 것이다. 이런 과정은 성을 결정하는 초기의 과정은 아니지만, 아마 사람에게도 온도가 성을 결정하는데 관여한다는 흔적으로 볼 수 있다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벌어졌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냉혈에서의 상승효과는 미미했다. 냉혈에서는
외부
온도가 하강하더라도 그 차이가 더운 김이 나올 정도로 오르지는 않는 것이다.이같은 결과, 동계온풍은 냉혈이 아니라 온혈이 근원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겨울에 대한 관측기록이 아직 없기 때문에 이를 ... ...
우울증 유발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람이 스트레스를 겪으면 개인이 가진 유전자 특성에 따라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영국 킹스대와 미국 위스콘신대, ... 열었다”며“하지만 5-HTT 유전자 자체가 우울증의 원인은 아니므로 앞으로 유전자와
외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도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따라 스스로 체온을 3℃까지 낮춰 겨울잠을 잔다. 가령 박쥐는 초가을이 되면 겨울잠에 대비하여 지방질을 축적한다. 이럴 즈음 박쥐를 붙잡아 냉장고에 넣어두면 곧 잠이 든다. 박쥐의 체온은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