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문과 수백만 개의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일일이 대조하는 작업을 거쳐야만 했다.
예상
되다시피 이 일은 수많은 인력이 필요한 매우 고통스러운 작업이었다. 그러다 보니 일치하는 지문을 발견했을 때는 어쩌면 자기 자신도 모르게 “찾았어!”라는 말이 튀어나왔을런지도 모른다.그러나 AFIS가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실을 밝혀냈다. 이 화학물질을 튜링이 제시한 반응-확산 방정식에 적용해 털 무늬를
예상
한 결과, 실제로 관찰된 쥐의 털과 일치했다. 튜링의 방정식이 최초로 실험을 통해 증명된 것이다.연구팀은 두 가지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확산제와 억제제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해서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인적 교류나 정보 교류를 통해 차근차근 미래를 준비해 나가야 한다.”▶ 공군이
예상
하고 있는 미래 우주 작전 수행능력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 그려 달라.“지금도 한반도 상공에는 900개 이상의 위성이 지나다니고 그중 상당수가 우리를 감시하고 있다. 먼저 누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는지를 ... ...
온실가스 배출 ‘절반의 합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12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2월 19일(현지시각) 폐막했다. 회의에 참석한 193개국 ... 감축안은 2010년 말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서 열릴 제16차 총회에서나 윤곽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파수꾼 역할이라 해서 주위 자극을 감시하고
예상
되는 변화를 감지하는 기능이다. 다른 가설은 방대한 자극에서 해방된 ‘자유롭게 생각이 일어나는 상태’라고 보는 입장인데, 이는 마음의 방황(mind wondering) 또는 백일몽 상태로 여겨진다. 두 번째 가설은 ... ...
늦더위와 방학 숙제를 한 번에! 과학실험 BIG. 3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어떤 내용을 써야 하나요?실험의 결과가 실험 전에
예상
이 가능한 내용이었다면 그
예상
을 꼭 쓰세요. 그리고 실험이 끝나면 내 생각과 맞는지 비교해 보고, 만약 맞지 않으면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생각해 글로 정리하세요. 또한 실험을 그래프나 도표를 사용해서 다른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파괴되고 지구 온난화로 날씨가 들쭉날쭉해져 유일하게 알을 낳을 수 있는 장마철도
예상
할 수 없게 됐거든. 실제로 맹꽁이는 이제 멸종위기 2급 종이 되었어.점점 사라지고 있는 맹꽁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는 것이 가장 먼저일 거야.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약물의 거울상 분자는 구조가 원래 표적단백질에 달라붙게 설계된 약물과 다르기 때문에
예상
치 못한 다른 단백질에 붙을 수 있다. 1960년대 초 1만여 명의 기형아 출산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입덧 방지제 탈리도마이드가 이런 대표적인 예다. 탈리도마이드는 거울분자 가운데 하나만이 약효를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런데 뜻밖에도 건물주와 임대인들 사이에 이주 시기 문제가 불거지면서 착공 예정일이
예상
보다 4개월 이상 늦춰졌다. 숨 가쁘게 몰아가던 작업에 맥이 풀리는 순간이 아닐 수 없었다. 아쉽지만 한편으로는 지금까지의 작업을 돌아볼 기회라며 위안을 삼기로 했다.여유를 갖고 한발 물러서서 보니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더 무거울 것이라고 생각해 큰 물체를 들 때 애초에 어깨에 힘을 더 주기 때문이라
예상
할 뿐이다. 실제로 실험을 통해서 사람들은 작은 것보다 큰 것을 들 때 애초부터 더 많은 힘을 준다는 게 밝혀졌다.하지만 이 실험을 반복할 경우는 달랐다.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두 개에 동일한 힘을 줬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