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교통 정체를 해결했다. 상상하기조차 힘든 짧은 순간이 도로를 따라 연결된 수천 개의
신호
등에 차례차례 영향을 미쳤고 급기야 차량의 흐름까지 바꿔버린 것이다.‘네트워크로 하나 되는’ 요즘 순간의 위력은 날로 더해지고 있다. 누군가 휴대전화로 메시지 한 통만 보내면 마치 핵분열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결정된다 원자 중 핵 스핀을 가지고 있는 원자는 핵자기공명장치 안에서 고유한 피크
신호
를 나타낸다 이 모양을 해석하면 원자 사이의 거리 정보를 알 수 있다 이들 거리 정보를 취합해 단백질 구조를 계산하는 방법을 핵자기공명법이라 한다전자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광선의 일종 기압이 매우 ... ...
도둑 발목 잡는 철통보안 동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더 안전하게 느끼는 반면 낙서나 파손으로 열악해진 환경은 통제와 관리가 부족하다는
신호
로 작용해 불안감을 높인다고 주장했다.전세계에서 효력 발휘하는 셉테드셉테드는 미국에서 시작됐다. 그 뒤 캐나다, 호주, 영국이 도입해 나라별 환경과 실정에 맞게 발전됐다. 1996년 미국 애리조나주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물질이 세포막에 있는 매운맛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수용체가 뇌에 ‘맵다’는
신호
를 전달한다.실제로 매운맛수용체에 캅사이신이 붙으면 수용체가 마치 터널 같은 ‘이온 통로’로 변한다. 활짝 열린 통로로 양이온이 통과한다. 그렇다면 이온 1개는 몇 초 만에 통로를 통과할까. 바로 100만분의 ... ...
전력선통신(PLC)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여기에 수십MHz 이상의 고주파
신호
를 함께 실어보내고 수신부에서 주파수가 다른 두
신호
를 분리해 주는 필터를 사용해 통신주파수만을 거러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전력선 통신기술의 핵심. 일반 가전기기 동작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력선통신과 일반인터넷의 차이특별히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안에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얼마 되지 않아 비상
신호
를 보내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이
신호
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달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관성항법장치(INS)를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냄새를 디지털
신호
로 바꿔 실시간으로 맡아보고, 부드러운지 거친지 감촉도 디지털
신호
로 바꿔 실시간으로 느끼게 될 수 있다는 것. 진짜현실 같은 가상현실진짜 같은 가상현실도 가능해진다. 장재호 교수는 “실시간 기술이 발전하면 가상현실에서 소리를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다”고 ... ...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감지하는 속귀의 감각수용기로부터 직접 감각정보를 받는다. 또한 대뇌 반구도 소뇌로
신호
를 직접 보낸다. 소뇌는 이와 같은 모든 정보를 통합해 근육운동을 유연하게 조절함으로써 우리가 숙련된 운동을 다소 자동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예를 들어 악기 연주를 배울 때 처음에는 동작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양자암호기는 전자 대신 광자(빛 알갱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0에 해당하는 광자에는 45도, 1에는 90도의 편각을 준 뒤 전용선을 통해 광자를 보낸다. 만약 누군가 중간에서 도청을 한다면 이는 물리적으로 광자에 부딪히는 것과 같다. 이 경우 광자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시냅스에는 신경전달물질이 나오는 전막과 신경전달물질로부터
신호
를 받는 후막이라는 구조가 있다. 이들은 완전히 붙어있지 않고 20나노미터(nm, 1nm=10-9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전막에는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소낭이라는 주머니가 있으며, 이 신경전달물질은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