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출근하거나 온라인 뉴스를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분비돼 뇌
세포
를 감싸는 지방질인 미엘린을 파괴한다. 미엘린 덮개가 파괴되면 뉴런 사이의 신호전달 속도가 떨어지며 아이디어가 번개처럼 번뜩이는 순간을 느끼기 힘들다. 학술지 ‘심리과학’에 나온 최근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해요검은콩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비타민 E가 풍부해서 피부나 신경
세포
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요.찹쌀멥쌀보다 식이섬유가 두 배 이상 많이 들어 있어서 소화가 잘 돼요. 우주인에게 딱 맞는 오곡밥!지금까지 개발한 우주 식량은 400가지가 넘어요. 같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듯이 폴을 보며 말했다.“오히려 그 반대 아니야? 예전에는 머리를 너무 안 써서 뇌
세포
가 다 퇴화했겠다. 지금은 머리를 자꾸 써서 뇌 신경이 살아나고 있을걸?”“그냥 말이 그렇다는 거지. 뭘 그렇게 따지냐?”폴과 폴리스가 아웅다웅 하며 식사를 마칠 때쯤 모일러가 다시 식당으로 들어오며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농도 차이로
세포
막은 -70mV의 전압 차이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외부의 자극이 들어오면
세포
막에 붙어 있는 이온채널이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전달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해부학자 폴 브로카는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게 됐을까. 지구에 나타난 최초의 독립영양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을 하는 단
세포
세균)다. 약 35억 년 전 원시 지구에는 산소가 희박했는데,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하며 산소를 방출했다. 결국 대기에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로 올라왔다. 과학자들은 ... ...
다이어트 호르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에피네프린이 나와 간에 있는 글리코겐을 부숴 에너지를 만든다. 이 에너지를 지방
세포
를 분해하는 데 이용한다.그렐린2008년 영국 럽버러대 데이비드 스텐슬 교수팀은 운동을 하면 그렐린(활성 그렐린) 수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그렐린은 위에서 분비돼 뇌로가 식욕을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긴 초저음파를 모두 사용한다. 이러한 돌고래의 소리를 이용하면 사람의 몸속에 암
세포
가 있는지, 장기에 이상이 있는지도 알 수 있다고 하니 미래에는 돌고래를 수족관이 아니라 건강검진기관에서 만날 수도 있겠다. 코끼리는 12Hz 정도의 초저음파를 이용해 의사소통한다. 낮은 소리는 높은 소리에 ... ...
암
세포
만 골라 죽이는 DNA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는 혼합물에 넣었다. 실험 결과, DNA로봇은 백혈병
세포
를 발견하고 항체를 풀어 백혈병
세포
의 성장을 중지시켰다. 하지만 DNA로 만든 구조물이기 때문에 뉴클레아제에 의해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다. 아이도 배철렛 박사는 “DNA로봇에 폴리에틸렌글리콜 같은 물질을 코팅하면 이 점을 보완할 수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현상이 보인다. 피 속을 돌아다니는 적혈구나 백혈구가 비좁은 모세혈관으로 들어가려면
세포
막이 접히고 휘어야 한다. 거시적으로는 지층이 서로 충돌하고 구겨지면서 산이 생겨난다. 이런 구겨짐 현상에 혹시 공통점은 없을까. 1990년대 중반 미국 시카고대의 물리학자들이 구겨진 종이를 연구하기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농도가 떨어지므로 결국 혈관은 얼게 됩니다. 따라서 심장이 멈추죠. 이와 동시에
세포
와 장기를 둘러싼 체강도 언답니다. 그렇다면 겨우내 얼어있던 혈관이 봄에 해동될 때 손상되지 않을까요? 숲개구리의 혈관벽에는 피브리노겐이라는 혈액응고를 촉진하는 단백질이 고농도로 존재합니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