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산업에서도 여과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반도체 고집적화 기술의 획기적인 개발로 현재 2
백
56MB의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이처럼 고집적화가 이뤄질수록 이에 비례해 분순물이 전혀 없는 초순도의 물이 요구된다.현재 0.1미크론 크기까지 회로선폭이 줄어들고 있다. 이 정도 크기에서는 0.1미크론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여러가지 효과를 줘서 촬영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상황에 따라 컬러 또는 흑
백
으로 촬영하는 것은 물론 일종의 컬러 필터 효과를 내 갈색이나 녹색 톤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역상 필름을 사용해 촬영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이것만이 아니다. 사진을 찍으면서 동시에 소리를 ... ...
운석에서 박테리아 합성물질 나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자철광 결정이 존재함을 발견했다. 관처럼 생긴 이 화석의 크기는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
백
분의 1로 매우 작다.지난 1996년 연구팀은 화성 운석에서 화석화된 박테리아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박테리아의 화석으로 주장된 포도 모양의 탄소화합물 흔적이 지구상에서 덧붙여졌을 ... ...
소행성 발견 2
백
주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금으로부터 꼭 2
백
년 전인 1801년 1월1일에 새로운 천체가 발견됐다. 다름아닌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이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수많은 소행성들이 모 ... 하지만 이 우주의 핵폭탄이 잘 이용되면 소행성의 자원가치는 상상을 초월한다. 이제 발견 2
백
주년을 맞은 소행성의 세계로 떠나보자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1천km에 못 미치고 나머지는 이보다 훨씬 작다. 현재 지름이 1km보다 큰 소행성의 개수는 1
백
만개로 추정된다. 그리고 소행성대를 벗어나 지구 근처를 기웃거리는 소행성들도 상당수가 있고 더욱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도 발견되고 있어 인류에게 커다란 충격을 가져다주고 있다. 물론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옳다면,단군은 더이상 신화적 존재가 아닌 실재 인물이 된다. 우리민족의 기원이 명
백
해지고, 반만년 역사를 큰 소리로 주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하지만 단군릉은 몇가지 새로운 문제점을 제기한다. 지금까지는 고조선의 수도를 요동에 있다고 추정했다. 고조선의 영역을 나타내는 비파형 동검이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1천7
백
여년 전 동양에도 피타고라스정리에 해당하는 구고술이라 불리는 수학원리가 있었다. 또한 동양수학고전에는 수학문제를 실생활에서 찾고 노래로 접하게 하는 친숙함이 깃들어 있다. 동양수학 최고 고전이며 우리민족 수학의 뿌리이기도 한 구장산술을 만나보자.수학하면 우리는 제일 먼저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당대 최고의 번역가’로 기억한다. 그가 지난 20여년 간 내놓은 번역서는 무려 2
백
여권에 이른다.그런데 국내에서 발간된 신화 관련 번역서나 저서의 대부분에 이윤기라는 이름이 붙어있다는 사실을 아는 독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다소 어색한 표현이지만 그는 분명 독보적인 ‘신화 전문가’로 ... ...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1998년 에릭슨, IBM, 인텔, 노키아, 도시바 등이 블루투스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1천5
백
여 업체가 블루투스 지원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블루투스는 약 10m 이내의 거리에서 두개 이상의 이동기기들을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전송속도는 1Mbps. 이 네트워크 하나로 8개의 기기를 ... ...
세균 잡거나 약 전달하는 나노헬리콥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보수되는 새로운 기술의 시작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노헬리콥터는 4
백
개의 바이오 모터 중 5개만이 작동될 정도로 아직 연구 초기 단계다. 실제로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원하는 임무를 수행하기까지는 몇년 더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