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내뿜었던 것이죠.당시 연구팀은 이전까지 형광을 가진 유일한 포유동물로 알려졌던 미국 주머니쥐와 날다람쥐가 모두 야행성이라는 점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형광을 가진 다른 야행성 포유동물이 있겠다고 추측하고, 자외선으로 박물관에 보관된 포유류 표본을 검사하다 오리너구리를 발견한 거죠.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이제 저희 공중부양 연구실 안에서도 반팔 반바지를 입을 수 있는 건가요? 지난 10월,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랜거 다이어스 교수팀이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이를 두고 과학자들은 놀라운 발견이라며 감탄했죠. 왜 그럴까요?먼저, 초전도체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 ...
- [한 장의 과학] 남성은 수렵을, 여성은 채집을? 여자 사냥꾼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묻혔다는 사실만으로 이번에 발견된 유골이 사냥꾼이었다고 단정 짓기는 힘들어요. 다만 미국 빙엄턴대학교의 인류학자 캐서린 스털링 교수는 “남성의 무덤에서 사냥 도구가 발견되면 사냥꾼이었다고 결론지었던 기준을 여성의 무덤에도 똑같이 적용해야 한다”며, “당시 사회에서 대형 동물을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MRI는 3T(테슬라)의 자기장으로 몸속을 촬영하는데, 지난 2018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연구팀은 10.5T의 MRI 장비로 신체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줄줄 새는 전기를 막아라!전기가 흐를 때 저항이 있으면 열이 생겨요. 오랫동안 사용한 컴퓨터가 뜨거워지는 것도 전기 ... ...
- [이달의 과학사] 페르미, 최초의 원자로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942년 12월 2일, 미국 시카고대학교의 미식축구장 지하에 긴장한 표정의 물리학자들이 하나둘 모였어요. 이날은 세계 최초의 원자로인 ‘시카고 파일 1호(CP-1)’의 시험 가동이 예정되어 있었어요. 대도시 한복판에서 이루어지는 위험천만한 실험이었죠. CP-1은 ‘핵분열’을 조절하는 원자로예요. ... ...
- [과학뉴스] 비행기보다 빠른 기차, 하이퍼루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미국의 기업 ‘버진 하이퍼루프’가 라스베이거스에서 하이퍼루프의 첫 유인 주행 시험에 성공했어요.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터널 안에서 객차가 자기장의 힘으로 추진력을 얻고 지면에 살짝 떠 마찰을 최소화 한 상태로 빠르게 이동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에요. 하이퍼루프가 ... ...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ISS에서 영화 촬영 계획이 발표되는 등 다양한 상업 활동이 이뤄지기 시작했어요. 나아가 미국 정부는 2021년 달에 사람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위해 올해 초 민간 참여 프로그램을 열었어요. 로봇과 인간이 달에 착륙하는 주요한 기술을 개발할 때마다 NASA가 우주기업에게 보상을 준답니다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이유는 알 수 없었어요. [3] 1975년 “저희가 초전도 현상의 이유를 알아냈습니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의 존 바딘 교수와 대학원생 리언 쿠퍼, 갓 박사학위를 받은 존 로버트 슈리퍼 세 명이 초전도 현상이 생기는 원인을 수학 계산을 통해 밝혀냈어요. 세 사람의 이름의 ... ...
- [우주화장실] 똥? 버리든가 먹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부풀어 터질 위험도 있으니 연구가 더 필요해요.혹은 대변을 다시 먹는다면요? 201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지구과학과의 크리스토퍼 하우스 교수팀은 혐기성 미생물로 배설물을 분해하는 실험을 했어요.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이에요. 이 미생물이 호흡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들으면 직관적으로 차이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모습이 보이기도 하거든요.지난 9월 2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를 소리화한 연주곡을 공개했어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천체물리학자 매트 루소 교수팀이 찬드라 X선 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찍은 우주를 소리로 바꾼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