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독특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표시되는 게 아니라 계속되는 계산과정이 화면에 나열된다.전자수첩의 시간기능 역시
독특
하다. 세계각국을 여행하는 비즈니스맨들이 쓸 수 있도록 지구상의 약 2백여개 도시의 시간이 기억된 월드타임이 있어 시계를 다시 맞추지않고도 자신의 현재 위치나 세계 대도시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온 듯하다. 그가 젊은시절에 당시의 사회적 통념으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여러가지
독특
한 행동양식으로 보여 온 것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되는 일이다. 그는 아마도 매우 일찍부터 하나의 독자적인 세계상을 추구해온 듯하며 이것에 맞지 않을 경우 그 어떤 권위를 지닌 가르침에도 굴복할 수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비타민과 철분을 공급해주는 더없이 몸에 좋은 전통채소의 일종인 것이다.미나리는
독특
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시식(時食)으로 오래 전부터 애호되었다. 단오 무렵이 제철이지만한번 베어내고 나면 그 그루에서 다시 새싹이 자라기 때문에 조건만 좋으면 일년내내 신선한 것을 먹을 수 있다.지금은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는 입이 매우 크며 몸의 빛깔도 거무스름하고 매우 무시무시하게 생겼다. 이들은 매우
독특
한 방법으로 먹이를 잡는데, 어떤 방법일까?① 입을 크게 벌리고 끈질기게 기다리고 있다가 물고기가 입안으로 들어오면 잡는다.② 모래 속이나 바위 옆에 숨어 있다가 갑자기 나와 다른 물고기를 놀라게 해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의 사체(死體)가 잔존한 것이지만 족흔화석은 살아 움직인 상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
한 의미를 지닌다.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움직였는지, 다른 생물과 어떠한 생태학적 관계를 이루었는지를 추측케 하고 그 당시 해륙의 분포에 관한 고지리(古地理)의 단서가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이어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시리우스를 지표로 삼아 찾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항성중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독특
한 청백색의 색깔을 띠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독자들께서는 이 시리우스의 밝기를 기억해두기 바란다.자 이제 머리를 동쪽으로 돌려보자.시리우스보다 밝은별?막상 고개를 돌린 동쪽하늘은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예다.실제로 그가 그린 산맥은 한국의 풍수가(風水家)들이 그린 지형도인 묘도(墓圖)의
독특
한 묘사법과 매우 비슷하다.대동여지도와 한국의 모든 다른 옛지도의 뚜렷한 차이점은 방격도(方格圖)에 따른 제작법에 있다. 지도를 펴면 대동여지도란 제자와 함께 제작연대와 제작자의 호가 인쇄돼 있다.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발생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모래사장과 개펄로 이루어진 사브카(Sabkha)라는 이 지역의
독특
한 지형은 오염회복의 악조건이 된다. 일반적으로 암석이 발달하고 파도가 센 해안에서는 기름띠가 바위에 부딪치며 깨져 미생물이 분해하기 좋은 형태로 변화하지만 개펄과 습지가 발달된 지형에서는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빠져든 아마추어 음악가로 현재는 서울예전에 컴퓨터 음악강의를 나갈 만큼 전문가가 된
독특
한 인물. 뎐롱패로 개칭한후 이들의 활약은 눈부시다. 매년 한번씩 정기발표회를 개최했고 서울대 서울예전 추계예술학교 등에 ‘전자음악’또는‘컴퓨터음악’이란 과목을 개설했다. 또 새로 등장한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아주 재미있다. 이 겨울철 대삼각형의 세 별들은 밝기와 더불어 그 색깔이 주는 이미지도
독특
한데, 이중 시리우스는 광기 서린 청백색의 빛 때문에 사냥개라기 보다는 무서운 투견이나 늑대라는 느낌을 준다. 옛날 중국에서는 이별을 천랑성(天狼星, 하늘의 늑대별)이라고 불렀다. 이와는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