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투
시대
시샘
투기
새암
선망
기간
d라이브러리
"
시기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04
이용하건 가족 사진을 많이 찍어서 컴퓨터에 넣어 놓은 경우 사진마다 사람의 이름 장소
시기
모인 이유 등과 같은 정보를 넣을 수 있는 가족 앨범 프로그램이 있다면 좋을 것이다. 아이의 이름을 입력하면 그 아이가 찍힌 사진들만 보여준다든가, 겨울이라고 입력하면 겨울에 찍은 사진들만을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04
밸브를 2개의 캠샤프트가 나누어 작동시키면 밸브의 위치선정이나 정확한 밸브 개폐
시기
를 맞추는데 좋다. 흡기밸브가 하나일 경우에는 혼합기가 연소실 전체로 퍼지기 전에 점화플러그에서 불꽃이 튕긴다. 그러나 밸브가 4개인 경우에는 점화플러그를 밸브가 둘러쌀 수 있어 연소실에 와류를 형성,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04
당시 유럽의 최고 과학자였던 호이겐스로부터 직접 수학을 배우는 행운을 잡았다.이
시기
에 라이프니츠는 미적분에 대한 개념을 정립했다. 라이프니츠의 미적분학 연구는 뉴턴의 경우보다 더욱 일반적이고 체계적이었다. 뉴턴의 유율법이 시간(t)에 대한 변화에 한정됐던 반면 라이프니츠는 일반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우리 인간을 이 지구에서 가장 막강한 종으로 만들어준 역사적 사건이었다. 수렵채취
시기
에 수적으로 그다지 우세한 종이 아니던 인류가 농경사회에 접어들면서부터 또 그후 산업혁명을 일으키면서 엄청난 속도로 성장, 급기야 오늘날에는 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고민해야 하는 처지에까지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03
흡사 야생조류박물관에 들어온 기분이었다. 하지만 이 지역에 철새가 가장 많이 모이는
시기
는 11월. 지금은 그때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길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4인승차만 황새 출몰이 예상되는 곳으로 출발했다. 버스는 소음이 컸기 때문이었다.행운은 빨리 찾아왔다. 11시 30분 1km 전방에 ... ...
콜레라 전염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603
따르면 콜레라를 발생시키는 비브리오균은 바다 플랑크톤에 붙어 이동한다. 만일 어떤
시기
에 플랑크톤 수가 늘어나면 비브리오균도 따라서 증가한다. 그 결과 콜레라 발병률이 상승한다.콜레라와 플랑크톤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은 30년 전에 이미 지적됐다. 당시 방글라데시에서는 봄과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02
언젠가는 모든 프로그램과 자료를 KSC 5700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을 때 그 방법과
시기
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가장 마찰을 줄일 수 있고 합리적인 방법을 찾아보아야 한다. 정부와 업계의 각고의 노력이 없이는 이러한 과도기는 예상 외로 길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는 피해도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02
시작됐을 것이다. 개미사회에도 농사를 지어 식량을 비축하는 개미가 있다. 그리고 그
시기
는 인류가 처음으로 농경생활을 시작하기 오래 전이었다. 지금도 중남미의 열대림 속에서 나뭇잎을 물어다 그위에 버섯을 기르는 잎꾼개미(leafcutter ants: 산에서 나무를 해오는 woodcutter를 나뭇꾼이라 부르는데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02
지능을 정확히 판정할 수 없다. 이 지능 검사법은 상당한 오차가 발생되고 있으며 측정
시기
, 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 IQ 측정에 사용되는 문제도 만든 곳과 측정하는 곳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렇게 이론적인 바탕이 불충분한 IQ 검사법을 가지고 여러 가지 통계를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02
지구의 기온은 0.5℃가 상승했다. 또 16세기의 간빙기와 태양의 흑점활동이 저조했던
시기
가 일치하는 것은 우연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런 만큼 태양활동의 주기와 농작은 급류와 뗏목, 또는 말똥구리와 말똥과의 관계 이상으로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태양활동 극대기에 생산된 포도주는 다른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