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뉴스
"
책
"(으)로 총 2,31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곤충분류군의 생태를 소개한
책
이 많다. 허나 우리 땅에 사는 곤충 전체를 이야기하는
책
은 아직까지 없었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곤충 전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 박사의 도전은 무모해보이기도 한다. 그녀는 남들 시선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 ...
冊으로 연휴 즐기기… 정서와 문화로 바라본 과학
2015.09.26
주부, 직장인…. 이들을 한데 모을 또렷한 기준은 없다. 그저 과학이 좋아서 함께 모여
책
을 보며 공부하던 모임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의 회원일 뿐이다. 어느 날 함께 공부하면서 의기투합한 사람들이 ‘지구란 행성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자’며 길을 떠난 것이다. 이들은 ‘함께 ... ...
잠이 보약… 코골이-근육통땐 옆으로 구부려 자면 ‘꿀잠’
동아일보
l
2015.09.25
오 교수는 “자기 전에는 최대한 뇌를 편안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침대 위에서는
책
도 안 보는 게 좋고, 침실에서 TV를 없애고 스마트폰 화면 밝기만 낮게 조절해도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바른 자세보다 모로 누운 자세가 더 좋다 효진 씨의 경우 코골이와 자고 난 뒤에도 몸이 ... ...
‘한국의 파브르’ 정부희 곤충기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5.09.25
이유는 자신의 연구를 철저히 글로 기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마추어 곤충학자들이
책
을 내긴 어려운 법. 장영철 충우곤충박물관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아마추어 곤충학술지 ‘계간 곤충(昆虫)’을 6월 26일 창간해 눈길을 끌었다. 장 관장은 “블로그 등에 신종 곤충을 올렸다가 전문가에게 ... ...
[신나는 공부]초등생 주의력·집중력·수학능력… 주판알 놓으며 잡는다
동아일보
l
2015.09.22
복습하면서 자신감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소영 교수는 “우리나라 교육은
책
을 읽은 뒤 해당 내용을 암기하는 등 주로 언어나 문자와 관련된 왼쪽 뇌를 자극하는 교육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면서 “학생들이 주판을 활용해 직접 보고 만지며 스스로 상상하는 수업을 받으면 창의성과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식습관을 갖자’ ‘머리를 쓰자’ ‘사회활동을 즐기자’다. 그런데 드라이스마는
책
에서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다소 비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즉 “알츠하이머병 연구의 역사에서 영양, 환경적 영향, 생활 방식과 관련 있는 위험 인자의 모든 목록이 제시되었지만... 모든 것을 합친다 해도 ... ...
썩은 그루터기도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가 된다
2015.09.20
인류의 진화와 연결 지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풀어 쓴 글”이라고 소개했다. 또
책
을 통해 “우리 인류의 기원을 쫓는 길고도 흥미로운 여행을 여러분 모두가 저와 함께 신나게 즐겼으면 한다”고 전했다.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않다는 것. 보통 같으면 제1저자(주로 실험을 한 사람)에 스탠리 밀러, 교신저자(실험의
책
임자로 주로 지도교수)로 헤럴드 유리의 이름이 올랐을 것이다. 아마도 유리 교수가 명예욕이 없는 사람이거나 노벨상 수상으로 모든 걸 이뤘기 때문이 아닐까. 밀러는 훗날 자신이 유리 교수의 학생이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생명체에 필수적인 질소는 대기 중의 풍부한 양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이
책
은 공기 중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해 비료를 만드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견을 이뤄낸 두 과학자,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에 대해 다룬다. 세계의 식량 공급이 인구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대기근이 ... ...
[광화문에서] 창조과학이라는 유사과학
과학동아
l
2015.09.08
발붙일 틈이 없다. 그런데도 창조과학이라는 이름의 유사과학을 믿는 이들은 오직
책
에 적힌 문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조야한 이유를 갖다 붙이면서 스스로에게 과학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이렇다. 7월 중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보낸 무인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가 명왕성과 그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