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뉴스
"
손상
"(으)로 총 2,713건 검색되었습니다.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우주기지에서 시험도중 생긴 구멍이라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발사 전에 발생한
손상
으로 드러날 경우 발사 관계자들이 이를 인지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추가 조사해야 한다. ... ...
신고리 4호기 해수배관
손상
확인…유사부위 전반 점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제출했으며 KINS의 검토를 거쳐
손상
배관을 보수, 교체할 계획이다. 원안위는 향후
손상
배관을 교체한 뒤에도 가동 전 유사 부위를 함께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신고리 4호기는 당초 지난해 10월경 운영허가가 날 것으로 예상됐으나 1년 넘게 가동이 지연되고 있다. 이미 신고리 ... ...
고생물학 디지털 화석으로 부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생물이 살았던 시대의 환경 정보를 담고 있다. 하지만 화석은 연구하는 과정에서 자칫
손상
될 위험이 있다보니 매우 다뤄져야 한다. 고고학자들은 이런 이유로 발견된 화석을 디지털 정보로 바꾸는 작업에 힘을 쏟고 있다. 9일 영국 BBC에 따르면 미국 스미스소니언국립자연사박물관과 영국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암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한다는 특징에 착안해 세포 분열 과정을 억제하거나 DNA에
손상
을 주는 물질을 이용해 화학적 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 하지만 이런 항암 물질은 골수나 모근 세포와 같은 정상 세포까지 구분 없이 제거해 흔히 항암 치료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백혈구 감소, 탈모 등과 같은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2018.12.08
하지만 광섬유에 들어간 레이저는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했다. 광섬유가 중간에
손상
을 입어서 빠져나오지 못했던 것이다. 무루 교수팀은 이후 수차례 실험 끝에 광섬유 길이를 1.4km로 줄이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CPA를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스트리클런드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입는 문제를 최소로 줄였으며, 광집게로 집더라도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생리적인
손상
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광집게가 탄생하기 전에는 미세 입자를 조작할 때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가령 손가락으로 쌀알을 집어서 옮긴다고 가정해 보자. 만약 손가락이 너무 뚱뚱하다면 정교하게 ... ...
“발사체 재사용으로 탐사비용 대폭 절감”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로켓이다. 일론 머스크는 2016년 트위터에서 “부품의 거의 모두는 100회 이상, (열에 의한
손상
위험이 큰) 열 차폐막 등은 10회 이상 재사용할 것”이라고 밝힌 적이 있어 3회 재사용은 시작에 불과하다는 평가다. 2020년 발사를 목표로 차세대 발사체 ‘아리안6’를 개발 중인 유럽의 ... ...
나노소자 내부 구조 보는 고감도 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연구원과 이은성 책임연구원팀은 나노미터급 반도체나 전자소자의 구조를
손상
없이 광학적인 방법으로 영상화하는 ‘광유도력 현미경’을 개발했다. 현재 물질을 나노미터 수준으로 관찰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원자힘현미경이다. 이는 곤충이 더듬이를 짚으며 앞의 공간 정보를 파악하듯, 긴 ... ...
[과학게시판]우주산업전략 수립을 위한 공청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잘 흡수하는 약물을 주입하고 의료용 가속기에서 나오는 중성자를 쏘아 정상세포
손상
을 최소화하면서 암세포만을 파괴하는 차세대 암 치료기술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일본 쓰쿠바대와 아르헨티나 국가원자력위원회의 가속기 장치 현황과 치료 동향이 공개될 계획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 분해하는 몸속 분자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조절해 분해 대상 단백질을 ‘26S’로 불리는 프로테아좀 내부에 가두고, ATP 분자와
손상
된 단백질을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으로 촬영했다. 단백질이 분해되기 직전의 순간을 포착한 것이다. 연구진은 프로테아좀을 구성하는 6개 분자모터가 ATP의 결합과 수산화 반응, 인산염 방출 과정 등을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