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인세로 먹고 살 수 있게 됐다. 이때부터 전업연구자·작가가 됐다. 파브르는 당시 분류
학자
들이 주로 사용하던 해부용 메스나 현미경보다는 돋보기를 들고 살아있는 곤충을 관찰하길 좋아했다.에덴동산에서 남은 여생을파브르는 죽을 때까지 프랑스 남부 알마스 지역에 머물며 곤충기를 썼다. 그는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주로 외국 자료를 뒤져서 정보를 얻는다. 희귀곤충을 많이 사육하는 일본 아마추어
학자
들의 블로그가 특히 양질이라고 했다. “이런 블로그에서 영감을 엄청 얻어요.” 독창적인 사육방법을 개발해 어리여치가 알부터 애벌레, 탈피 후 성충으로 크는 모습을 치밀하게 찍은 접사 사진이 방대했다.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않다는 걸 아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해양생물
학자
가 꿈인 최세진 군(경기 파주 한민고 1)은 “인터넷으로는 알 수 있는 게 제한적인데, 이곳에 와서 눈으로 해양생물을 보고 궁금한 점은 박사님께 직접 여쭤볼 수 있어서 정말 값진 시간이었다”며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인정할 수 있는 지구 모형이 필요했다. 지구의 민낯을 성형한 지구좌표계독일의 수
학자
가우스는 1828년에 지구의 수학적 형상인 ‘지오이드’를 처음 소개했다. 지구에서 위치에너지가 같은 점을 연결해서 만든 면 중에서 평균해수면과 가장 가까운 면이 바로 지오이드다. 지오이드에서 바다는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➎ 펼치면 아이비 잎사귀 완성!] ‘접어서 한 번만 자르기’ 문제는 1721년 일본의 수
학자
칸 추 센이 쓴 에 처음 등장한다. 이 책은 당시 유행하던 다양한 수학 퍼즐을 책으로 묶어 낸 것으로, 접어서 한 번만 자르기 문제도 여기에 들어 있다.기리가미가 역사적인 순간에 큰 역할을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비유한다. 몸집에 따라 걷는 속도가 다른 이유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미국 물리
학자
인 재클린 페리 박사는 사람이 걸을 때 다리를 움직이는 과정을 관찰했다. 두 발이 번갈아 움직여 한 걸음을 걷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0.6초. 말과 마찬가지로 사람도 일정한 패턴을 수없이 반복해 움직인다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시간 동안 내 삶을 이끌어온 원동력이 무엇인지를 볼 수 있다. 때문에 미국 미주리대 심리
학자
로라킹은 “후회야말로 사람을 성장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고 주장한다. 지나간 시간을 반추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다.마음의 상처를 지키는 낙법결국 중요한 것은 후회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새로운 우주여행 방법 말이다. 역으로 웜홀이나 다중우주와 같은 SF의 단골소재는 물리
학자
들이 일반상대성이론의 연구주제를 택할 때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SF는 과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동행하고 있다. 올 가을엔 위에서 소개한 영화나 소설을 한 편 잡아보자. 새로운 세계를 맛볼 수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영도, 즉 0 K로 새로운 기준을 잡았다. 물의 어는점은 자연스럽게 273.15 K가 됐다. 하지만 과
학자
들은 여기에서 만족하지 않았다.그동안 취재했던 다른 단위에 비해 온도는 참 쉽고 직관적이다. kg처럼 변하는 원기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왜 기준을 바꾸려는 걸까.“우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특이점이 나타나 당시 증명에는 실패했다. 그런데 러시아 수
학자
그레고리 페렐만이 2002년 어떤 특이점은 절대 발생할 수 없고, 다른 유형들은 잘 통제된 방식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밝혀 푸앵카레 추측이 맞다는 것을 증명했다.그렇다면 특이점은 왜 생기는 걸까. 이기암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