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어나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불안감이 퍼지고 있다.다행히 우리는
하늘
에 제사를 지내는 수준을 벗어나 자연재해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다. 자연의 힘에 비해 아직 능력이 부족하지만 끊임없는 노력으로 차이를 조금씩 줄여 가고 있다.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경기과학고와 서울대를 졸업하고 현재 파인만 논술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며 메가스터디에서 수리과학 통합논술을 강의하고 있다. 공동 저서로는 ‘동아일보 이지 ... 때문에 실제 우주의 무한 여부를 떠나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는 유한하다. 그로 인해 밤
하늘
의 밝기는 유한값을 갖는다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
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그 순간 속력이 시속 50~60㎞정도이다.➌ 공중으로 뛰어오르면 가슴지느러미를 활짝 펴서
하늘
을 난다. 나는 동안 꼬리지느러미로 수면을 때리며 추진력을 다시 얻거나, 나는 방향을 바꾼다.➍ 다시 바다 속으로 들어갈 때는 가슴지느머리를 몸에 바짝 붙인다. 공기의 저항을 작게 해 물 속으로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타르보사우루스가 속한 수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많다”고 설명했다.8000만 년 전
하늘
의 주인해남이크누스(Haenamichnus)해남 우항리에서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신종 익룡.날개 길이 12m. 뒷발에서 물갈퀴가 확인된다.날 때는 마치 큼지막한 행글라이더가 나는 것 같고 강변이나 호숫가 진흙에 내려 ... ...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름을 붙였다.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꾸는 로봇 ‘트랜스포머’나 전투기와 같은 속도로
하늘
을 나는 ‘아이언맨’의 로봇형 슈트를 만드는 일은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까. 그런데 ‘로봇을 만드는데 불가능은 없다’고 외치는 겁 없는 신예들이 있다. 트랜스포머와 아이언맨을 능가하는 로봇을 ... ...
세 가지 색깔의 아라비안나이트, 페르시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값비싼 금으로 만들어졌어요.날개 달린 사자 장식 뿔잔 용맹한 사자의 몸에
하늘
을 날 수 있는 날개까지 달려 있으면 그야말로 무적이겠죠? 그렇다면 이 술잔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맞아요. 왕이랍니다. 이 황금잔은 가장 번성했던 시기인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의 왕이 사용했다고 해요. 이 잔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사이에 있어 달을 볼 수 없다. 초승달은 그믐이 지난 며칠 후 볼 수 있으며 초저녁에 서쪽
하늘
에서 잠시 관찰할 수 있다. 그믐이 지난 후 7일째에는 상현달을 볼 수 있는데 이때 태양과 달이 이루는 각은 90°이다. 그 이후에는 오른쪽이 볼록한 달을 볼 수 있다. 2주일이 지나면 달의 전면을 모두 볼 수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층 587m), 잠실 제2롯데월드(112층, 555m)가 ‘
하늘
길’을 연다. 초고층 건물의 적, 바람신은
하늘
에 이르려는 인간의 욕망을 꺾는 데 바람을 사용했을까. 초고층 건물의 가장 큰 적은 바람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높이가 올라갈수록 지진에 더 약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는 않다. 왜 그럴까. 비밀은 ... ...
디지털이 연출한 예술 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인간과 기후의 상호작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테이블 위 천정에 투영된
하늘
은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날씨정보를 반영한 영상이다. 또 관람객의 접근정도에 따라 빛의 강도와 배경음 높이, 즉 작품의 ‘기후’가 바뀐다. 인간의 행동이 기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 ...
밤
하늘
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한다.독자사진지난달 수상작 문경수 씨의 ‘몽골 밤
하늘
의 목성’. 장시간 노출해 밤
하늘
을 찍은 뒤 플래시를 터뜨려 사람을 함께 사진에 담았다. 목성(가장 밝은 별)을 바라보는 듯한 포즈가 재미있다.임재식 >전주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육군 중위로 복무 중이다. 중학교 시절부터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