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도"(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중력으로 그린 바닷속 지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지금까지 발표된 지도 중 가장 크고 정확한 바다 지도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데이비드 샌드웰 교수팀은 중력을 이용한 새로운 바닷속 지도를 그려 ‘사이언스’ 10월 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구(ESA)의 위성을 이용해 해수면을 정밀하게 측정했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신종일 겁니다."미국 뉴욕주립대 환경및삼림과학과 도날드 스튜어트 교수가 보내온 e메일에는 자신감이 묻어나왔다. 스튜어트 교수는 작년 4월 아마존에서 몸길이 3m, 무게 220kg에 이르는 물고기, '아라파이마'의 신종을 발견했다. 그동안 한 종만 있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스튜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은 중요하다.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우리는 먼저 얼굴을 익힌다. 오랜만에 만난 사람은 안색을 살핀다. 요즘 사람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뼈만 남아 있는 인류의 조상을 이야기할 때도, 우리는 얼굴이 어떻 게 생겼는지 궁금해한다. 인간의 얼굴은 언제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먼저 인간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실러캔스는 부챗살 같은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에 살집이 있다. 이들 일부가 뭍으로 올라오면서 지느러미가 다리로 진화했다는 게 현재 진화론의 정설이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세상에 약 550종의 동물 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당시에는 그것도 많은 숫자였다. 2000년이 지나 18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bioengineering)의 이진형 교수는 공학과 의학, 생물학을 넘나드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자’다. 서울대(학사)와 스탠퍼드대(석·박사)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했지만, 지금은 신경학 및 신경과학을 연구하며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을 자극해 뇌질환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하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태윤아, 이번 월드컵은 브라질에서 열린대.응, 이제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았어.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이 이기기를 바라면서 우리도 공을 차 볼까?으악, 나는 축구를 잘 못하는걸?축구교실에서 기본기부터 차근차근 배워 연습하면 될 거야!축구교실에 가다축구교실은 무엇을 하는 데지?이곳은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할머니 댁에 좀 다녀오지 않으련? 엄마가 지금 바빠서 갈 수가 없구나.”빨간 모자는 고민에 빠진 채 길을 걷고 있습니다. 엄마의 갑작스러운 부탁에 케이크와 과일을 들고 할머니 집에 가는 길이에요. 하지만 빨간 모자는 태어나서 할머니를 본 적도, 할머니 집에 가 본 적도 없어요. 주변 친구들 ...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지렁이의 움직임과 실제 지렁이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모델의 정확도를 입증했다. 다양한 질량의 가상 지렁이를 만들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조건에서 실제 지렁이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모델을 로봇공학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영화 에 등장하는 골룸과 영화 의 주인공 시저의 공통점은 뭘까?바로 둘 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가상의 캐릭터라는 점이다. 대체 골룸과 시저 같은 가상 캐릭터는 어떻게 사람이 원하는 대로 움직일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동아 독자기자들 ... ...
- [생활] 팔방미인 상수, π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상수를 뽑으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원주율 π를 쉽게 떠올릴 것이다. 실제로 수학자들은 π가3.141592…임을 기념하기 위해 3월 14일을 파이데이로 정하고, 이를 축하하는 여러 행사들을 열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유명한 기호 π는 대체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 원주율과 기호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