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팀이 뇌-컴퓨터 접속기술을 연구하고 있지만, 뇌라는 미지의 대상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가야 할 길이 먼 분야입니다. 뇌-컴퓨터 접속기술이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정신 활동을 제어할 수 있는 만큼 기술 발전과 함께 윤리적인 논의도 함께 진행돼야 합니다 ...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훨씬 발전했다는 점과 양자컴퓨터의 계산 오류가 슈퍼컴퓨터에 비해 훨씬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자우월성’이란 말은 이르다고 지적했어. 게다가 현재 양자컴퓨터는 잡음이 섞여 불완전한 계산 능력을 가지고 있지.사실 IBM은 2019년 1월, 20개의 큐비트를 가진 세계 최초의 회로 기반 상용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빅데이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어요. 바로 지금,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바꾸고 싶은 점을 찾았나요? 그러면 얼른 COMPAS에 접속해 다른 친구들에게 내 의견을 나눠보세요! 작은 문제부터 큰 문제로 나아가다 보면 어느새 여러분의 등에도 커다란 빅데이터 망토가 달려있을 거예요. “띵동~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맛, 귀여운 블록이야!’ 생김새만 보고 좋아했다가는 큰코다칩니다. 한두 칸 모자라 블록을 놓지 못하면 ‘웬수’라고 생각할 테니까요. 이런 불상사 ... 같습니다. 마무리가 길었군요. 게임도 수학도 여러분의 방식대로 즐기세요! 그동안 전지적 수학 시점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된다. 문제는 이 핵폭풍을 일으키는 열에너지의 분포가 시간과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아이스맨이 이 핵폭풍을 얼리기 위해서는 시간과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열에너지를 정밀하게 중화시켜야 한다. 이를테면 농도가 서로 다른 염산, 황산, 질산이 무질서하게 흐르고 있는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승정원일기’에 기록돼 있다. 소위 ‘궁중떡볶이’로 불리는 간장떡볶이는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처음 언급됐는데, 실제 궁중떡볶이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권 책임연구원은 “떡볶이에 관한 기록은 오병(熬餠·볶은 떡)을 먹었다는 기록만 승정원일기에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유연한 제품이 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 가소제 때문에 PVC 제품이 대체로 열에 약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PVC 제품은 재활용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설령 재활용한다고 해도 가소제로 인해 재생 플라스틱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유영재 한국화학연구원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달에 발을 내디디면 1969년 아폴로 11호 이후 55년 만에 다시 인류가 달에 가게 된다. 다른 점이라면, 아폴로 계획이 미국과 옛 소련의 냉전에서 비롯된 정치적 산물이었다면, 아르테미스 계획은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캐나다 등 국제 협력으로 이뤄진다는 것이다. 인류를 다시 달에 보내겠다는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플레이에서는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후기와 별점을 남기기 때문에 별점 테러나 낚시용 후기가 없거든요. 데이터가 많은 것도 중요하지만, 데이터의 질이 얼마나 좋은지도 중요해요. 추천 알고리듬으로 누리는 고민 없는 삶이 부럽지 않나요? 추천 알고리듬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데이터 세계는 수로 이뤄진 세계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큰 강점이 있거든요. 더 미래로 나아가면 데이터 세계의 정보가 실제 세계와 거의 같아지게 될 거예요. 데이터 세계는 만져지지도 않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 곳이에요. 데이터 세계의 주민은 ‘수’고 이들의 활동은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