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역에서는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해 309명이 숨졌다(위 사진). 특히 라퀼라 지진은 작은 규모의 지진이 계속 발생하던 상황에서 지진 전문가와 시민 보호 담당 고위 공무원이 대중강연과 방송 인터뷰에 등장해 주민들을 안심시킨 상황에서 발생한 탓에 논란을 빚었다. 결국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실제로 모세포만큼 큰 딸세포 하나와 이에 비해 아주 작은 두 번째 딸세포가 생기고, 작은 딸세포는 결국 퇴화합니다(위 그림). 난모세포가 4개의 난자가 아닌, 하나의 큰 난자를 만들어내는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수정란에게 충분한 세포 소기관과 단백질, mRNA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죠(과학동아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외에 하고 싶은 다른 일들을 많이 했다고 한다. 특히 그는 손으로 하는 일을 좋아해서 작은 부품을 조립하거나 십자수를 놓고 피아노를 치는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겼다. 덕분에 크게 학업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공부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고등학교 1~3학년 동안 성적 변화도 크게 없었다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걸까? 그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 보자. 구름 속에서 눈이 생기려면 얼음의 핵이 되는 아주 작은 먼지 입자가 필요하다. 이런 핵이 없다면 영하의 온도이고 공기 중에 물이 풍부하더라도 눈이 되기 어렵다. 대부분의 먼지 입자는 영하의 낮은 온도에서 빙결★이 잘 되고, 종류별로 활발하게 성장하는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했다는 점이 같아요. 또 과학자들은 더욱 멀리 있는 천체를 자세히 관측하기 위해 작은 거울을 이어 붙어 대형 반사망원경을 만들었는데, 가리비 역시 마찬가지예요. 가리비는 수백 만개의 거울을 이용해 정확하게 사물을 볼 수 있지요. 연구에 참여한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는 200개나 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됐지요. 덩어리가 커질수록 더 많은 암석 덩어리와 얼음들이 충돌했어요. 그 결과 작은 지구가 탄생했답니다. 이후 암석 덩어리들은 더욱 빠른 속도로 지구에 부딪혔어요. 부딪힌 부분에는 충돌로 인해 엄청난 열이 발생했고, 열 때문에 암석이 녹아내렸어요. 충돌이 계속되자 지구는 온통 뜨거운 ...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이다. 그 결과 수 mm의 크기에서 1V 정도의 전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작은 부피에서도 높은 전압을 발생 시킬 수 있어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나 마이크로로봇, 나노로봇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에너지’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됐다. doi : 10.1016/j.nanoen.2017.11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바다의 보물’ 로 불린다. 해면동물이나 조개, 해마 등 바다 생물의 쉼터이자, 작은 물고기들이 포식자를 피해 숨는 은신처가 된다. 전 세계 바다에서 산호초가 차지하는 면적은 0.1%가 채 되지 않지만, 해양생물의 4분의 1이 산호초와 어우러져 살아간다.지난 40여 년간 산호초의 화려함은 점차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복숭아를 먹지만, 이곳은 꽃이 먹거리입니다. 테이블이 하나뿐인 사완본딘 속 작은 카페에서 우리는 꽃을 먹었습니다. 농장을 만든 ‘또’가 꽃을 끓인 차만이 아니라 간식으로도 꽃을 줬거든요. 어떤 꽃은 신맛이 났고 어떤 꽃은 달았습니다. 태국은 식물이 무럭무럭 자라는 열대기후니, 꽃이 ... ...
- [과학뉴스] 섬유근육통, 왜 이렇게 아픈지 봤더니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발표했다. 폭발적 동기화는 서로 연관된 다양한 개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작은 자극에도 폭발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물리학 현상이다. 연구진은 섬유근육통 환자 10명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 환자들의 두뇌에서 폭발적 동기화의 증거를 발견했다. 섬유근육통 환자의 경우 신경세포들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