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15% 정도에서 쓴맛 수용체가 발현했고, 예상대로 이런 세포에서는 여러 쓴맛 수용체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했다.연구자들은 이 발견을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나눠 실었다. 10쪽 분량의 첫 번째 논문은 새로운 미각 수용체 무리의 발견에 대한 내용이고, 이어지는 ...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개체수의 약 98%가 검은색을 띠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후추나방은 검정 색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딱 하나밖에 없다.영국 생물학자 버나드 케틀웰의 주장에 따르면 회색이었던 후추나방은 살아남기 위해 몸 색깔이 검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산업혁명 때 환경이 급격히 오염되면서 나무껍질에서 ...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억제해 기억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miR-134는 CREB 같은 시냅스 활성 유전자의 작용을 방해한다. 따라서 이들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면 새로운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제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오늘날 생명과학의 많은 영역이 마이크로RNA를 고려하지 않으면 제대로 해석할 수 없다. ...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감칠맛을 제외한 4가지 맛이 기본 맛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분자생화학과 생리학, 유전학이 발전하면서 미뢰 속에 감칠맛을 인식하는 맛 수용체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감칠맛도 다섯 번째 기본 맛으로 인정받게 됐다. - 중략 - 맛을 내는 물질은 침이나 물에 녹아 분자 또는 이온의 형태로 ...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때를 연대순으로 배열했다. 불과 청동, 바퀴, 수레바퀴, 수차, 풍차에서 시작해 인터넷, 유전자 복제, 끈 이론, 우주 탐사 등으로 이어지는 놀라운 이야기로 독자들을 매료시킨다.과학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세상 모든 것이 존재하고 생명체가 살아 숨 쉬는 것에 대한 진리일 뿐 아니라 과학자들이 ...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이 자물쇠를 찾아냈다.“초파리는 1만 3000개의 유전자가 있는데 이들을 하나하나 고장낸 유전자조작 초파리를 만들었어요. 이들 중 교미를 한 뒤에도 계속 교미하려고 하는 암컷 초파리를 발견했어요. 바로 자물쇠가 고장난 초파리였던 거죠.”그는 그 순간을 ‘초파리를 연구하면서 가장 기뻤던 ...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다른 구성원과 교배할 가능성도 높다. 개체군은 개체 간에 유전되는 변이에 작용하는 자연석택을 통해 변화한다. 자연선택은 개체군 내의 다양한 특성의 출현 빈도를 변화시킨다. 생존 곡선과 상대 수명 생리적 수명이란 최적 조건에서 개체군이 노쇠해 죽었을 때의 ...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빛을 반사시키는 성질이 있어 자외선 차단제로 좋다. 속이 빈 구형의 입자는 안에 약재나 유전자를 넣어 캡슐이나 촉매로 활용할 수 있다. 스폰지 구조는 표면적이 넓으면서도 구조가 안정적이라 수소에너지를 저장할 창고로 활용할 계획이다.“과학과 산업계에서 나노입자에 대한 러브콜이 ...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효소)을 이용해 복제하고, 피해를 입힌다. -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프로그램, 숙주의 유전체)에 끼어들어 간다. - 잠복기가 존재한다(유전 정보에 끼어들어 나중에 복제된다). - 초기 감염된 곳에서 여러 장소로 퍼진다. - 작은 코드(암호)로 이뤄져 있다. ② 차이점 생물 바이러스 - 명확한 실체물이 ...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것을 연구할 계획인가요?앞으로 리보솜의 기원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싶어요. 리보솜은 유전정보를 해독해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공장으로, 생명과 관련된 거의 모든 일을 해요. 따라서 생명의 기원에서 리보솜의 역할이 중요했을 거예요. 하하! 리보솜에 대한 저의 호기심이 그칠 줄 모르네요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