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했다.루오프 교수가 이끄는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은 이런 자세로 지금까지 세상에 없었던 ‘꿈의 재료’ 만들기에 도전하고 있다. 이론 화학자들이 컴퓨터로 계산해서 예측한 ‘초박막 다이아몬드 필름’과 ‘음의 곡률을 갖는 탄소 소재’ 등을 합성하는 것이다.초박막 다이아몬드 필름은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상에 믿었던 사람의 배신만큼 기분 나쁜 일이 있을까.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사태는 명품 독일 차의 명예를 실추시킴과 동시에, 환경에 친화적이며 파워도 출중하다는 디젤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완전히 버려 놨다. 일각에서는 ‘클린 디젤은 없다’ ‘더티 디젤’이라는 비아냥거림까지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하지만 우리의 몸이 늘 멀쩡한 데에서 알수 있듯,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MODEL세상의 구조이제 오늘의 주인공,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가 등장할 차례다. 1913년 보어는 당시 물리학이 풀지 못하고 있던 문제들을 한방에 해결할, 새로운 원자모형을 제시했다. 보어의 원자모형은 다음과 같은 ... ...
- 찰칵~! 동물들의 순간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방의 날개 위에 파리가 겁도 없이 앉았어요. 사진 속 나방은 세상에서 가장 크다고 알려진 아틀라스 나방이에요. 날개 길이가 25~30cm 정도나 되지요. 불가리아의 위본느 스페인 작가는 스튜디오에서 나방 사진을 찍던 중 그 나방의 날개 위에 파리가 다가와 앉는 모습을 보게 됐어요. 엄청난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원본을 찾게 되었다. 이로서 100년여 동안 전설로만 내려오던 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우리나라 근대 수학의 선구자이상설이 쓴 는 총 130여 쪽으로 이뤄져 있다. 대부분 한자로 쓰여 있지만 비례, 방정, 기하원본 등 근대 수학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전반부는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현장에 곧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워요. 유전자를 조작해서 만든 ‘유전자재조합 식품’이 세상에 나타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전자 조작 바나나를 먹고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지는 아직 아무도 모르거든요.Q 유전자 재조합 식품 표시가 된 과자, 안전한가요?튼튼이 유전자를 캐번디시의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모클리 교수 연구팀과 계약을 맺고 새로운 컴퓨터를 만들기로 한다. 하지만 새 컴퓨터가 세상에 등장하기도 전에 전쟁은 끝이 났고, 모클리 교수와 대학원생이었던 프레스퍼 에커트는 1946년 2월 ‘에니악(전자 숫자 적분 및 계산기)’이라는 이름의 컴퓨터를 선보였다. 전원 스위치가 켜지면, 에니악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해카톤은 ‘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로, 마라톤을 하듯 정해진 시간 동안 열심히 해킹을 하는 소프트웨어(SW) 개발 대회를 말한다. 해킹이라고하면 남의 정보를 훔쳐가거나 시스템을 공격하는 사이버 범죄를 떠올리기 쉽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해킹은 난이도 높은 프로그래밍을 뜻한다. ...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부른다. 기사들 앞에 ‘원탁’이라는 수식어는 왜 붙은 걸까?아더 왕 이야기가 세상에 처음 소개된 것은 12세기 초 영국 작가 제프리 오브 몬머스가 쓴 에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원탁이 등장하지 않았다. 그로부터 약 20년 뒤, 프랑스의 작가 바스가 를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세계로 들어가는 시작이다. 파브르가 관찰한 곤충을 시작으로 보다 더 넓은 곤충 세상을 바라봐야 곤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시체를 땅속에 파묻는 놀라운 실력자 곤봉송장벌레도 파브르의 레이더에 걸려들었다. 곤봉송장벌레는 새끼들의 보금자리를 만들기 위해 시체 아래쪽에 들어가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