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겨울에만 피는 꽃, 상고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눈부시게 빛나는 하얀 꽃을 본 적 있니? 오늘은 겨울에 피는 꽃을 보여 주려고 해. 추운 겨울에 무슨 꽃 타령이냐고? 물론 따뜻한 봄에 피는 꽃이 이렇게 추운 겨울에 피었다는 소리는 아니야. 그런데 겨울에도 아름다운 꽃이 나무 위에서 피어난단다. 무슨 소리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고? 그렇다면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환자, 정신지체 및 신체장애 환자들에게 춤을 이용한 치료를 적용해왔다.치료의 기본 원리는 춤을 통해 내 마음의 상태를 알아내는 것이다.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스스로 어떤 감정과 느낌, 생각들이 떠오르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몸치라고 주눅들지 말고 일단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여기서 ψ(프사이)는 파동방정식을 뜻합니다. 아무리 어려운 양자역학 문제라도 기본은 이 ψ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 파동방정식 앞에 붙어 있는 ∂와 ∇라는 기호는 미분을 뜻합니다. 파동방정식을 구하려면 미분과 적분을 꼭 거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수함수는 미분과 적분을 해도 모양이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명예기자들이 탄성을 질렀지요. 지름 약 10m, 높이는 6m에 달하는 크기였는데, 실제로 본 케이스타는 훨씬 크고 웅장해 보였어요. 은빛으로 빛나는 금속으로 만들어져서 거대한 UFO처럼 보이기도 했어요.케이스타가 위치한 연구동은 두꺼운 콘크리트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어요. 플라스마 발생 실험 시 ...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겨울을 재촉하는 비가 내리던 11월의 마지막 금요일. 수학동아가 인천여고 수학동아리 ‘펜로즈’를 만났다. 이제 생긴 지 채 1년도 안됐지만, 펜로즈에는 펜로즈만의 특징이 이미 뚜렷하게 자 ... 말을 기억한다면, 분명 사진 속 펜로즈처럼 활짝 웃는 앞날이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수학동아 l2015년 01호
- ” 지하상가에 들어가서도 삼촌의 방까지는 한참이나 걸어가야 했다. 스쳐 지나며 힐끗 본 게 다였지만, 지하상가는 생각보다 넓고 사람도 많았다.“어때, 위에서 봤던 거랑 많이 다르지? 땅 위 사람들은 땅 아래 이런 세상이 있다는 걸 잘 모르지. 자 이제 다 왔다.”삼촌은 ‘관계자 외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미스터리는 매혹적이다. 알 듯 말 듯,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다. 특히 음산한 안개가 흐르고 신비로운 달빛이 떨어지는 우거진 숲은, 미스터리 사건이 일어나기 가장 좋은 장 ... 습한 숲 어딘가에 웅크리고 앉아 있을지도 모르는 미확인동물의 존재를 신비동물학이 밝혀내길 기원해 본다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오직 광학카메라만 들어가 있었다. 즉 아리랑 3A 위성의 가장 큰 특징은 적외선으로 본다는 점이다.가시광선을 통해 사진을 찍는 광학카메라는 캄캄한 밤에는 촬영이 불가능하고, 렌즈 앞을 가리는 물체, 즉 구름이 있으면 원하는 영상을 얻지 못한다. 하루에 지구를 14바퀴나 돌지만 지상에서 보면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특히 이 종은 판피어 가운데 가장 크고 다양한 데다 박물관에 수천 개의 화석 표본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껏 생식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세계의 고생물학자들이 열광했습니다. 두 연구성과는 모두 과학잡지 ‘네이처’에 실렸어요.2014년 초 우리는 판피어의 성기가 상어처럼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불가능한 생물이다. 생장 속도가 아주 더디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지의류 전문가인 일본국립과학박물관 가시와다니 히로유키명예연구원의 책 ‘지의류는 무엇일까’에 따르면, 치즈지의의 경우 1년 동안 자라는 길이는 많아야 0.5mm에 불과하다. 북극권이나 유럽에서는 더욱 더뎌서, 100년 동안 겨우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