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도통 다음을 모르겠더군요.원숭이 왕 : 소 장군이나 개 장군 중에 범인이 있는 셈이니, 둘 중 하나를 저울에 올렸던 네 개의 금상 중 하나와 비교해 보면 범인이 밝혀지겠지요. 이러면 범인을 단 2번 만에 잡아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호랑이 왕 : 호오~, 역시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결과였다. 흥미롭게도 이들이 밝혀낸 단맛 수용체에는 1999년 찾은 미각 수용체 후보 둘 가운데 하나인 T1R2가 포함돼 있다. 그 실체를 아는데 이렇게 시간이 걸린 건 T1R2가 단독으로 작용하는게 아니라 T1R3(2001년 5개 연구팀에서 거의 동시에 발견)이라는 또 다른 수용체와 짝을 이뤄 단맛을 감지했기 ... ...
- You Must Get Flu Vaccine과학동아 l2010년 11호
- 2009년의 H1N1 바이러스, H3N2 바이러스, 그리고 B 바이러스가 유행할 것으로 예측됩니다.둘,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왜 H1N1(신종플루) 백신이 작년처럼 별도의 백신으로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답은 이렇습니다. 작년에 신종플루 백신이 별도로 접종된 이유는, 신종플루가 몇 달에 걸친 독감 예방주사 ...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행복한 삶을 위해 어떤 정신질환이 사회에 ‘있는 듯 없는 듯이’ 만연하고 있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현대인이 흔히 앓는 정신질환을 홈페이지에 소개했다. 그중 한국 사회에서 정신질환인지 자각하지 못하거나, 병원을 찾지 않고 가볍게 여겨 병을 키울 가능성이 많아 ...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만들었다. 유적과 시설물의 정확한 실물 크기를 가늠하기 위해서다. 그런 건물을 하나 둘 씩 모아 ‘1400년 전의 계획도시’라 불렸던 사비성을 복원해 냈다.기본 조사가 끝나자 시나리오와 콘티작업에 들어갔다. 앞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역사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를 제작하는 단계다. 백제 ...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남게 되고 B학교의 학생 2명이 앉는 방법의 수가 6가지므로 이 경우에는 12×6=72가지다. 둘째, (E)-(F) 테이블 2개에 D학교의 학생들이 3명 앉는 경우의 수는 6가지다. 위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3개의 테이블에 각각 한 자리씩 남게 되므로 B학교의 학생 2명이 앉는 방법의 수가 6가지다. 따라서 6×6=3 ...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찾아봐야겠다. 영준이와 내가 함께 보내는 시간이 가장 많은 곳이니까 분명 우리 둘 사이를 이어 줄 발명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거야.오잉? 그런데 교실이 확 바뀌었네! 선생님은 분필은 어디 두시고 흐린 점이 오밀조밀 가득 찍힌 종이만 들고 계신담? 우왓! 저 종이에 쓴 글자가 바로 칠판에 ...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알려져 관광지로 이용되고 있다.“아니, 뭐…, 발을 잘못 디뎌서 그만….”어설프게 둘러댄 허풍.“그런데 어떻게 이리로 나오시게 된 거죠?”설명을 들은 가이드는 자신이 모르는 길을 허풍이 말하자 깜짝 놀란다. 허풍과 도형이 지나온 길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장소로 이어지는 통로였다.“하하, ... ...
- 함수는 커플매니저수학동아 l2010년 10호
- 함수 매니저가 허락할까요? 선생님 : 그런 상황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어요. 그렇다고 둘다 포기하게 한다면 유능한 커플매니저가 아니겠지요. 소망이 말처럼 이 상황에서 함수 매니저는 일단 두 사람 모두에게 기회를 줄 거예요. 두 사람을 한 명에게 대응시켜 주는 건 가능하거든요. 그 뒤에 두 ...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둘 사이의 관계도 중요하다. 곡선에 접선을 긋는 문제로부터 발달한 미분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것에서 시작한 적분은 마치 덧셈과 뺄셈 같은 관계가 있다.5를 더한 뒤 5를 빼면 아무 변화가 없다. 덧셈과 뺄셈은 역연산 관계기 때문이다. 마치 문을 열었다가 다시 닫으면 원래 ... ...
이전184185186187188189190191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