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포비든 킹덤’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랍 민코프 감독은 본래 우리에게 9컷 정도 맡
길
예정이었는데 시연 영상을 보고 30컷으로 늘렸다. 당시 회사를 창업한 뒤 전체 직원이 겨우 20명 정도인 상황에서 덜컥 일을 해야 했다. 영화 제작에 함께 해주셨던 모든 분들께 늘 감사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 ...
박테리아도 커피 애호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측정 실험에도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카페인 오염을 정화할 수 있는
길
이 열린 것이다. 카페인은 대표적인 메틸잔틴계 화합물로 생물학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았다.배릭 교수는 “폐수 정화뿐만 아니라 커피 가공 과정에서 유익한 부산물을 얻거나 새로운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참가한 팝업북 작가 콜레트 푸는 “전도성 물감을 사용할 경우 종이가 접히면 회로가 끊
길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은 펜도 있다. 종이가 접혀도 회로가 끊기지 않는다. 제니퍼 루이스 일리노이대 재료과학공학과 교수가 개발해 2011년 ‘응용재료’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개발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활약은 지구에만 그치지 않는다. 지난 2011년 6월에는 화성 표면을 촬영한 사진에서 기찻
길
과 역처럼 보이는 물체가 발견됐다. 구글이 NASA와 협력해 만든 화성 지도를 통해 발견한 이 물체는 아마추어 화성 연구자가 공개했다. 정확하게 어떤 물체인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구글 어스의 활약은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다닌다. 벽이 있으면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엄마 쥐는 다른 쥐보다 벽 없는
길
에 있는 시간이 더 많았다. 더 용감한 쥐가 된 것이다. 이 차이는 임신과 출산이 뇌에서 두려움을 담당하는 부분인 편도체의 활동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생긴다. 따라서 어미는 새끼를 키우기 위해 위험을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마법으로 혼돈을 만들어 모든 게 엉망이 됐다고. 지금 다같이 녹색마녀에게 따지러 가는
길
인데, 같이 갈래?”계산기가 미쳤어요!그런데 허수아비 님은 녹색마녀에게 뭘 따지러 가나요?난 똑똑한 공학자야. 복잡한 계산은 필수지. 그런데 녹색마녀의 악한 마법으로 혼돈에 빠진 계산기 때문에 모든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제니 박사는 클라드니의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음악이 만들어 내는 파동은 음의
길
이나 박자에 따라서도 고유의 무늬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그가 정리한 새로운 무늬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재생 화면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있기 때문이다. 조 인칸델라 CMS 대표가 “어떤 종류의 힉스 입자인지 밝혀내려면 갈
길
이 멀다”고 밝힌 것도 이런 이유다.힉스 입자는 이제 어느 정도 ‘발견’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100%는 아니다. 올해 1월, LHC는 2년 예정으로 빔 출력을 2배로 높이는 공사를 시작했다.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2년으로 예정된 임무 중 이제 4분의 1 정도를 소화했다. 샤프 산까지는 아직 먼
길
이 남아 있다. 큐리오시티는 그곳에서 또 무엇을 발견할까. 모두의 기대처럼 화성에서 살았던 생명체의 화석이라도 발견한다면 얼마나 짜릿할까 ...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나침반이 없던 시절, 별은 방향을 알려 주는 유일한
길
잡이였어요. 지금도 밤하늘의 북극성만 찾으면 바로 방향을 알 수 있지요. 그런데 곤충도 별을
길
잡이로 삼 ... 별이 가득 모인 빛무리라는 이야기예요. 연구팀은 다른 곤충도 같은 방식으로
길
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